부산 ‘먹는 물’ 국비 확보, 첫 단추는 끼웠다
취수원 확대 사업 예산 확보 성공
부산·경남 합의하면 사업 본격화
녹조유입 방지 국비는 마련 못 해
내년 낙동강 취수탑 설치 안 될 듯
엑스포 관련 정부안보다 41억 증액
부산의 핵심 현안 중 하나로 꼽히는 먹는 물 문제 해결을 위한 취수원 확대 사업이 국비 확보 성공으로 본격 추진을 앞두게 됐다. ‘안전한 먹는 물을 위한 안전한 취수원 확보’에 첫걸음을 내딛게 된 셈이다. 다만 기존 낙동강 취수장의 녹조 유입 방지를 위한 사업은 국비 확보에 실패해 단기적으로 녹조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24일 국회가 처리한 예산안(수정안)에 따르면 ‘낙동강 유역 안전한 먹는 물 공급체계 구축’ 사업은 여야 예산 협상을 통해 19억 2000만 원의 예산이 신규로 반영됐다. 이 사업은 합천 황강 복류수와 창녕 강변여과수 취수시설을 개발해 부산과 경남 등지에 공급하는 사업이다. 이렇게 되면 부산에 하루 약 50만t의 맑은 물이 공급돼 오랜 기간 각종 오염에 노출된 낙동강을 취수원으로 해 온 부산경남의 식수 문제가 상당 부분 해결될 수 있다.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에 따르면 부산의 1일 평균 생활용수 급수량은 약 100만t(지난해 연말 기준)에 달한다.
먹는 물 공급체계 구축 사업은 총 사업비가 2조 원이 넘고, 경남 해당 지역에서 반대 목소리를 내 국비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최근 낙동강 민관협의체를 통한 조율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이번에 국비 확보에 성공했다. 부산과 경남이 취수에 대한 최종 합의에 성공할 경우 사업 추진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다만 낙동강 취수탑 설치 사업은 국비 확보에 실패했다. 취수탑 설치 사업은 취수원 다변화가 이뤄지기 전까지 기존 낙동강 취수원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대책으로 꼽혔다. 부산시는 올해 국정감사에서 공업용수인 4등급 이하의 낙동강 원수를 정수한 수돗물을 58일간 시민들에게 공급한 것으로 드러나자 녹조 문제 해결을 위해 취수탑 설치 방침을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정부가 지역 간 형평성 문제 등을 이유로 예산 편성에 반대하면서 내년에는 사업 추진이 어려워졌다.
한편 부산 철도사업의 경우 국회 예산 증액 성적이 엇갈렸다. 부산 남구 경성대·부경대역에서 이기대 삼거리를 연결하는 저상트램(오륙도선) 사업은 국토교통부 신규사업으로 국비 17억 4400만 원을 확보했다. 강서구 녹산산단과 명지국제신도시, 부산 도심지를 연결하는 도시철도 ‘하단~녹산선’도 국회에서 25억 원의 국비 확보에 성공했다.
반면 부산시가 주요 국비 증액 사업으로 추진했던 부전~마산 복선전철의 전동열차 추가 도입 사업은 국비 확보에 실패했다. 이에 따라 내년 4월 개통 예정인 해당 구간의 전동열차 간격이 90분으로 운영될 전망이어서 당분간 이용객 불편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2030부산세계박람회(월드엑스포) 유치 사업들도 국회 증액에 성공했다. 엑스포 프레젠테이션 비용 등 엑스포 유치 지원 국비는 정부안에 213억 원이 반영돼 있었으나 국회에서 41억 원이 증액됐다. 2030엑스포에 맞춰 가덕신공항을 조기에 개항하기 위한 ‘설계비’ 역시 국회에서 10억 원이 반영됐다. 가덕신공항 사업은 정부안에 120억 원이 편성돼 있었지만 사업 일정을 당기기 위한 설계비 선반영이 필요하다는 게 부산시의 요구였다.
도로사업의 경우 만덕~센텀 혼잡도로가 국회에서 28억 원 증액됐고 황령3터널 도로개설 사업 역시 국회에서 8억 1000만 원이 증액됐다. 반면 엄궁대교, 대저대교 사업의 경우 국회에서의 국비 증액에 실패해 정부안에 반영된 사업비로 내년 사업을 진행하게 됐다.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