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 아닌 숲을 봤더니… ‘슬세권’ 부산 문화 드러났다 [新 문화지리지-2022 부산 재발견]
[新 문화지리지 2022 부산 재발견] 에필로그
발로 뛰며 기록한 문화지리 15편
곳곳서 문턱 낮춘 문화 공간 발견
장르마다 골목 문화 다양성 확인
생존 화두 속 개성 있는 콘텐츠도
시설 불균형·경직된 지원은 문제
아카이브 구축 등 후속 작업 필요
9월 20일 ‘미술관 옆 화랑’을 시작으로 12월 27일 ‘부산의 축제’에 이르기까지 15편을 연재한 부산문화재단 공동기획 ‘新문화지리지-2022 부산 재발견’이 마침표를 찍었다. 입에 단내가 나도록 수십 수백 곳에 전화를 돌리고, 발로 뛰며 부산 문화의 현주소를 확인한 결과물이다. 문화 지도에 표시된 점 하나도 허투루 찍지 않았다. 맞춤형 자료가 존재하지 않으니 매번 맨땅에 새로 지도를 그려 나가는 만만찮은 작업이었다. ‘문학 속 부산’처럼 오래된 기억과 흩어진 자료를 지도라는 장소에 구현하다 보니 지도로 표현할 수 없는 것도 많아 아쉬웠다.
2009년 시즌1 때와는 상전벽해라 할 정도로 문화 환경이 달라졌다. 발로 쓴 15편의 ‘新문화지리지 시즌2’를 관통하는 키워드는 슬리퍼 신고 손쉽게 갈 수 있는 ‘슬세권’ 문화의 재발견이다. ‘크고 강한’ 문화가 아니라 일상 곳곳에 보석처럼 박혀 있는 접근성 좋고 문턱 낮은 ‘작은 문화’가 꿋꿋하게 생존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갤러리 카페의 확산은 미술을 시민 일상 공간으로 끌어들였다. 시즌1에선 없던 생활밀착형 문화공간인 21곳의 생활문화센터는 시민 문화놀이터 가능성을 보여 준다. 지역 문화 실핏줄인 하우스콘서트홀에선 자체 관객 DB 구축과 꾸준한 기획 공연으로 일상에 음악이 흐르게 했다. 동네 책방은 책방의 개성을 살린 북큐레이션과 독서·영화 모임으로 골목 문화의 다양성을 채우는 소중한 인프라였다.
생존은 절박한 화두였다. 부업을 해야 근근이 운영비를 충당할 수 있는 공연장, 명맥을 유지하기 위해 온 힘을 다하는 정기간행물 제작자를 만나며 영혼까지 끌어모아야 하는 현실에 먹먹했다. 상대적으로 척박한 부산 문화 환경은 역설적으로 개성 있는 문화를 일구는 촉매가 됐다. “경쟁이 치열한 서울에선 인기를 얻기 위해 트렌드를 쫓아간다면 부산에선 뮤지션들이 하고 싶은 음악을 할 수 있어 개성적인 음악이 탄생할 수 있다”는 인디신이 대표적인 사례다. 온라인 플랫폼 홍수 속에서 연극 비평이나 일러스트처럼 전문적인 내공에 집중한 오프라인 미디어 생태계의 생존 전략도 돋보였다. 부산국제영화제(BIFF) 덕이 크지만 BIFF만으론 설명할 수 없는 ‘영화도시 부산’에선 40여 개의 크고 작은 영화제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전달하는 개성 있는 플랫폼으로 영화를 틀고 있었다.
문화 지원의 경직성은 이구동성으로 지적하는 아쉬움이었다. 대학 무용학과가 잇따라 문을 닫고 동인 춤판이 힘을 잃어가는 무용계에선 천편일률적인 지원 정책 탈피를 주문했다. 연간 100회 이상 공연을 해도 공연장 지원 사업에서 배제되는 라이브클럽을 보면서 장르 특성을 고려하지 않는 기준에 대한 지적도 나왔다. 신석기 시대 공동묘지였던 가덕도 장항유적에 기껏 홍보공원을 만들고도 잡초만 무성하게 방치한 행정 당국의 태도도 아쉬움을 자아냈다. 자칫 부산이 기억을 상실한 도시가 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뒤따랐다.
매번 문화 지도를 그릴 때마다 문화 시설 불균형은 더 뚜렷하게 드러났다. 해운대 집중에서 수영구와 원도심으로 확장되는 모습은 보이지만 여전히 화랑은 남·수영·해운대에 몰려 있고, 소극장은 범일동-대연동-광안동-남천동-연산동의 도시철도 역세권에 많았다. 소위 동부산권에 문화 시설이 집중적으로 찍혔다. 부산현대미술관, 부산도서관, 부산국회도서관을 비롯한 대형 문화공간이 서부산권에 들어섰지만, 언 발에 오줌 누기다.
기사에 대한 반향은 즉각적이었다. 연극인들조차 현장에서도 몰랐던 부분을 많이 알게 됐다는 말을 전했다. 해운대구청에선 해운대구만 따로 떼서 기획시리즈를 만들 작정이라고 전하기도 했다. 문화 격차 해소에 행정당국의 노력을 당부하는 시의원의 질의도 뒤따랐다. 아카이브 구축과 더 세분화한 추가 문화지도 제작을 비롯한 후속 보도를 제안하는 목소리도 많았다. 출판 문화에 대한 점검, 과거와의 흐름 속에서 이후 맥락을 짚어 주는 기획에 대한 주문도 뒤따랐다. 부산시와 부산문화재단도 미처 챙기지 못한 부분이 있는데, 행정적 뒷받침을 할 수 있는 게 뭔지 고민하고 있다고 전했다.
특별취재팀=이상헌 선임기자 ttong@busan.com
이상헌 기자 ttong@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