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물썰물] 신년사

곽명섭 논설위원 kms01@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계묘년 새해를 맞아 모든 이들의 마음에 새로운 출발을 다짐하는 충만함이 차오를 때다. 더불어 백지처럼 앞에 높인 새해를 어떻게 보내고 운영할지 분주한 때이기도 하다. 그 뼈대가 되는 것이 국가나 기관, 기업 등의 조직으로 보자면 바로 신년사라고 할 수 있다.

새해의 시작은 신년사와 함께 실질적으로 출발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신년사는 국가나 어떤 조직이 지난 한 해를 되돌아보고, 앞으로 1년간 해야 할 일을 담아 놓은 지침서 또는 나침반과 같은 역할을 한다. 국가는 말할 것도 없고 어느 기관이나 기업이라도 신년사 없이 새해 업무를 시작하는 곳이 없는 이유다. 신년사를 찬찬히 뜯어보면 그 조직이 현재 처한 상황과 함께 앞으로 지향하는 목표와 정체성까지 엿볼 수 있다.

조선 시대에도 이와 비슷한 것이 있었다. 지금의 신년사와 같은 형식은 아니지만, 새해를 맞아 국왕의 국정 의지를 담은 윤음(綸音)이 바로 그것이다. 22대 국왕인 정조는 즉위 3년째이던 1779년 1월 1일, 전국에 윤음을 내렸다. 조선왕조실록에 “지금 정월이 돌아오고 만물이 비로소 새로워지는 때에 불쌍한 나의 백성들은 봄철의 궁핍함이 갈수록 극심해서 살아갈 계책이 아득하기만 하다”며 “말이 여기에 미치니 맛있는 음식도 달지 않다. 모든 우리 지방관이 과연 나의 이런 마음을 제대로 헤아려서 백성들을 생각해 주고 있는가?”라고 안타까워했다. 그러면서 “(관리들은) 더욱 깊이 유념하여 가난한 백성들이 일 년 내내 따뜻한 봄을 함께하는 뜻을 갖게 하라”고 당부했다. 왕조 시대에도 큰 틀에서 새해를 맞이하는 각오는 별반 다르지 않은 것 같다.

엊그제 계묘년 시작과 함께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주요 정상들도 일제히 신년사를 발표했다. 각국의 다양한 고민과 이에 대한 해결 방향이 담겼다. 윤석열 대통령도 새해 첫날 경제와 수출을 집중적으로 강조하는 한편 노동·교육·연금의 3대 개혁 과제를 제시했다. 올해 국정이 어떤 어젠다를 중심으로 진행될지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새해의 얼개인 신년사는 개인에게도 유용하다. 설령 작심삼일의 전철(?)을 밟게 될지라도 일단 계획을 세워 본다는 자체만으로도 자기 마음의 근육을 튼튼히 하는 일이다. 서두를 필요는 없다. 아직 새해 초이니만큼 한 열흘쯤 생각을 묵혔다가 깨끗한 종이에 정리해 본다면 새해를 이끌어 줄 자신만의 나침반 하나가 생길 것이다.


곽명섭 논설위원 kms01@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