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부산 침체 탈출의 돌파구는 대학에 있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지방대 육성 예산 충분한 확보 절실
지역 활성화 구심축으로 역할 해야

부산·경남 지역 대학의 노조 관계자들이 부산시청 앞에서 지방대 붕괴에 대한 근본대책 마련을 촉구하며 기자회견을 하고 있는 모습. 부산일보DB 부산·경남 지역 대학의 노조 관계자들이 부산시청 앞에서 지방대 붕괴에 대한 근본대책 마련을 촉구하며 기자회견을 하고 있는 모습. 부산일보DB

최근 발표된 2023년도 대입 수시모집 전형 결과, 벚꽃 피는 순서대로 대학이 문을 닫는다는 ‘벚꽃 엔딩’ 우려가 또다시 입증됐다. 4년제 지방대 수시에 합격하고도 등록하지 않은 수험생이 전년도에 이어 올해도 3만 명을 넘은 것이다. 이는 지방대 수시 정원의 20%나 되고 지난해에 비해 늘어난 규모다. 반면 서울 등 수도권 대학의 수시 미등록자는 지난해보다 줄었다. 윤석열 대통령이 교육 1호 공약으로 지방대 살리기를 제시했던 이유다. 특히 부산은 비수도권 중 지방대가 가장 많다. 게다가 부산경제 활성화 시책으로 지산학 협력사업이 추진되는 만큼 지역 대학의 회생을 위한 실효적인 대책이 절실하다.


윤 대통령은 지난 1일 신년사에서 노동·연금개혁과 함께 교육개혁 구상을 밝히면서 지방대의 균형발전을 강조했다. 그리고 고등교육에 대한 권한을 지역에 과감히 넘겨 지역 산업과 연계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지원 기피 현상과 지역 인구 감소로 정원을 채우지 못해 재정난과 폐교 위기에 내몰린 지방대와 수도권 대학 간 양극화 해소에 중점을 두겠다는 의지를 보인 게다. 교육 공약 이행에 필요한 당연한 계획이 아닐 수 없다. 수도권 중심의 오랜 지원정책 탓에 지금의 기울어진 운동장과 같은 결과를 초래한 만큼 정부는 교육개혁 차원에서 적극적이고 다양한 지방대 육성정책을 수립해 지속적으로 펼쳐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올해 책정된 정부 예산이 1조 2837억 원에 달한다. 부산시가 지난해 지역 대학에 지원한 90여억 원을 감안할 때 천문학적인 액수다. 4년제 대학만도 15개인 부산이 사활을 걸고 예산 확보에 나설 필요성을 보여 주는 대목이다. 지방대 육성 정부 사업비의 지자체 할당을 앞두고 부산시가 지역 특성과 현실에 맞는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대학 지원계획을 세우는 게 급선무다. 지역 대학들이 숨통을 틔워 발전을 도모하기에 충분한 정부 사업비를 따내기 위해서다. 대학별 입장을 잘 조율하고 전체 대학의 동반 회생이 가능한 방안을 담아 정부에 대응하는 자세가 시에 요구된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취임 초기부터 대학을 포함한 지산학 협력을 통해 산업계에 필요한 인재 양성, 지역 신기술 및 신산업 육성, 일자리 창출에 주력하고 있다. 대학가 상권을 형성하는 대학이 협력사업의 제 역할까지 해낸다면 침체된 지역 경제가 활성화하는 데 돌파구가 된다는 생각에서다. 윤 대통령이 지방대와 지역 산업의 연계를 강조했듯이 적절한 판단임에 분명하다. 부산 대학들이 위기에서 벗어나 지역 발전의 중심축이 되고 국가균형발전에 한몫하도록 정부와 지역사회의 관심과 전폭적인 지원이 시급하다. 지방대 스스로도 역량과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자체·기업과 연대해 취업률과 지역 기여도를 높이는 등 변화와 혁신을 이뤄야 살아남는다는 걸 명심할 일이다. 관건은 실천력이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