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초고령’ 부산 기업, 창업 성과·젊은 피 수혈 급하다
60세 이상 기업 대표 30% 전국 최고
지역 경제 노쇠 걷어 내고 활력 찾아야
특별·광역시 가운데 가장 먼저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부산에서는 기업들도 대부분 심각한 노쇠 현상을 겪고 있다. 부산울산중소기업중앙회의 통계 분석에 따르면, 2020년 부산 지역 산업체 가운데 60세 이상 기업 대표자 비율이 29.6%를 기록했다. 30%에 가까운 이 수치는 전국 17개 시도 중 최고 수준이다. 고령화로 치닫는 인구구조에 더해 지역 대부분의 중소기업들까지 덩달아 늙어 가는 산업구조가 결국 부산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뜻이다. 물론 부산 경제의 이런 열악한 현실은 이미 무수한 형태의 데이터를 통해서 익히 알려진 바다. 이제 중요한 것은 현상 분석이 아니라 현실 개선이다. 올해는 노쇠한 부산 경제를 ‘젊고 푸르게’ 변모시킬 가시적 성과를 내야 한다는 얘기다.
기업의 노쇠는 부산 경제가 해결해야 할 숙제로 늘 거론되긴 하지만 구체적 통계 결과가 안기는 충격은 역시나 크다. 2020년 부산 지역 사업체의 대표자가 60세 이상인 비중은 제조업으로 한정할 때 34.0%까지 치솟아 전국에서 압도적 1위를 보였다. 비제조업이라고 다르지 않아서 60대 비중은 29.1%로 역시 전국 1위다. 이미 폐업한 기업을 봐도 부산 기업의 노화는 고스란히 확인된다. 2021년 폐업자 중 60세 이상 비중이 26.0%에 달했고 70세 이상도 7.9%를 기록했다. 6대 광역시 중 단연 최고다. 다만, 29세 이하 청년 대표자가 1.9%(2012년)에서 3.1%(2020년)로 적잖이 늘어난 것은 그나마 작은 위안이다.
기업의 노화가 부산의 고질적인 문제로 자리 잡은 데에는 여러 이유가 있는 것 같다. 험한 ‘3D’ 업종으로 인식되는 제조업이나 건설업은 아무리 잘 키운 기업이라도 젊은 후계자들이 가업으로 물려받지 않으려는 성향이 엄연하다. 가업을 승계하고 싶어도 법과 절차가 발목을 잡는 경우도 많다. 얼마 전 화제의 드라마 ‘재벌집 막내아들’에서 재벌가 자녀들이 기업 경영권 승계를 위해 엄청난 규모의 상속세를 납부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대표가 고령인 중소기업의 경우 원활한 가업 승계와 세대교체를 위해서는 상속·증여세 부담을 경감해 주는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2023년은 부산 경제가 침체에서 벗어나 회복과 재도약의 기회를 붙잡아야 하는 실로 중차대한 시기다. 무엇보다 급한 과제가 ‘초고령 기업’을 탈피하고 경제 전반에 젊고 싱싱한 활력을 채우는 데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부산은 그동안 숱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된 성과를 거두지 못했는데, 올해는 부산 경제에 젊은 피를 수혈해 체질 개선의 구체적 결실을 봐야 한다. 이는 산업구조 고도화 숙제와도 연관된 문제다. 3년 차 창업 기업의 탈부산을 막고, 지산학을 연계한 2030 창업을 적극 지원할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 여기에 세대교체와 기업 쇄신도 맞물려야 한다. 더 이상 ‘초고령사회’라는 오명에만 갇혀 지낼 수 없는 부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