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 풀린 현금 170조 원 넘어섰는데…화폐발행잔액 증가율은 18년 만에 최저

김진호 기자 rplkim@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17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에서 직원이 5만 원권을 정리하고 있다. 연합뉴스 17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에서 직원이 5만 원권을 정리하고 있다. 연합뉴스

시중에 풀린 현금이 170조 원을 넘어섰다. 그러나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예금금리 상승 등으로 현금 선호도가 떨어지면서 증가율은 2004년 이후 18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17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화폐발행잔액은 174조 8622억 원으로 1년 전(167조 5718억 원) 대비 4.4%(7조 2903억 원) 증가했다. 화폐발행잔액은 한국은행이 발행해서 시중에 공급한 화폐 중에서 환수한 금액을 뺀 잔액이다. 즉 한은으로 돌아오지 않고 현재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현금의 규모를 뜻한다. 화폐발행잔액은 2016년 말 97조 3822억 원에서 2017년 말 107조 9076억 원으로 100조 원을 넘어선 뒤 2018년 말 115조 3894억 원, 2019년 말 125조 6988억 원 등으로 계속 증가했다. 특히 코로나19 피해회복 지원 등으로 유동성이 확대 공급되면서 2020년 말 147조 5568억 원, 2021년 말 167조 5718억 원 등으로 급증했다.

화폐발행잔액 증가율(전년 대비)은 2000년대 들어 한 자릿수를 유지하다가 글로벌 금융위기 다음 해인 2009년(21.4%)부터 저금리가 지속되면서 2017년까지 두 자릿수를 나타냈다. 이어 2018년 6.9%, 2019년 8.9%로 잠시 주춤하다 코로나19 기간인 2020년(17.4%)과 2021년(13.6%)에 다시 급증했다.

하지만 지난해 화폐발행잔액 증가율(4.4%)은 2004년(1.6%) 이후 18년 만에 최저를 기록했다. 한은 관계자는 “지난해의 경우 일상회복 기조에 접어들면서 위험회피심리가 완화됐는데 이에 따라 증가 속도가 둔화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지난해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예금 금리가 상승, 현금 보유의 기회비용이 늘어난 것도 영향을 미친 요인 중 하나”라고 덧붙였다.

지난해 화폐발행잔액 중 5만 원권이 152조 9407억 원으로 전체의 87.5%를 차지했다. 5만 원권은 전년 대비 8조 7296억 원(6.1%) 증가했다. 1만 원권 잔액은 지난해 16조 3750억 원으로 오히려 2021년보다 8.1% 감소했다.


김진호 기자 rplkim@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