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의 도시 부산, 수변 딱 붙은 ‘건물 병풍’ 막는다
시, 첫 수변관리 기본계획 용역
해안가·하천변 전 구간이 대상
경관축·접근성 등 강화 목표로
내년까지 새 가이드라인 마련
공공성 확보 가치 실현 나설 듯
‘물의 도시’ 부산이 지역 하천, 바다 개발과 보존 기준을 세운다. 하천과 바다 개발의 중·장기적 기준이 사실상 없어 ‘해안 경관의 사유화’ ‘난개발’ 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불거진다는 판단에서다. 부산시는 보존과 개발은 물론 시민 접근성과 건축물 높이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해 부산의 핵심자원인 수변을 제대로 관리할 가이드라인을 만든다는 계획이다.
부산시는 17일 부산의 해안과 주요 하천에 대한 ‘수변관리 기본계획’ 용역을 예산 20억 원을 투입해 추진한다고 밝혔다. 시는 다음 달 초 용역에 착수해 2024년 말 마무리하고 2025년 수변관리 기본계획을 시행한다. 이번 용역은 시가 지역 전체 해변과 주요 하천을 대상으로 처음 진행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번 용역에 포함된 구간은 기장군~해운대구~영도구~사하구 다대포~강서구 가덕도에 이르는 379km 해안선과 낙동강·수영강·맥도강·평강천·서낙동강 등 국가하천 5곳, 괴정천·대천천·초량천·동천·온천천·석대천 등 지방하천 45곳 271km 구간이다. 시는 수변에서 500m까지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분류하기로 했다. 부산 전체의 40%가 포함되는 방대한 구역이다. 포함되는 지역도 넓지만 그동안 개발이 해안가와 하천변을 중심으로 진행됐다는 점을 고려하면 부산의 개발 지도 자체를 바꾸게 될 가능성도 있다.
그동안 부산의 수변은 시민의 것이 아니었다. 늘 ‘성장’을 명분으로 한 개발 논리에 밀렸다. 아파트, 공장 등이 수변으로 향하는 길을 가로막아 수변 공간이 사유화되는 문제가 일어나기도 했다. 도로 등으로 인해 생활 공간과 수변이 단절되고, 녹지·여가 위주의 단순하고 획일적인 수변 공간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시 도시계획과 관계자는 “부산은 다른 어떤 도시보다 바다와 하천이 많은 도시다”며 “과거에는 여기에 산업적으로만 접근했지만 앞으로는 공공성을 강화해 시민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 계획이다”고 말했다.
시는 이번 용역에서 수변 실태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찾고 수변 중심 도시공간의 장기 비전과 기본 구상을 마련한다. 해변, 도심하천 등 각 지역의 주변 상황과 여건에 맞게 구역별 계획 목표와 관리 방향도 만든다. 이를 바탕으로 공공성과 접근성 개선을 위한 마스터플랜을 세우고 수변관리 가이드라인을 수립할 예정이다. 가이드라인에는 수변 건축 계획, 밀도 등의 기준이 포함된다.
시가 ‘수변 공공성 확보’를 중요한 가치로 내걸고 용역에 착수하는 만큼 수변구역 내 경관축, 통경축 등의 내용이 포함될 가능성이 크다. 경관축, 통경축의 가이드라인이 명확해지면 기존보다 건축선이 후퇴하게 될 전망이다. 또 시민의 수변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정비사업 등으로 공공기여가 있을 경우 최대한 수변과 맞닿은 곳을 확보, 공공 목적으로 개발하는 방안도 고려되고 있다. 또 수변 건축물의 저층부를 상점과 공연장 등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수변 거점과 가로를 활성화하겠다는 내용도 담길 가능성이 크다.
시 도시계획과 관계자는 “부산이라는 도시가 더 매력적으로 변하기 위해서는 시민이 일상에서 해변과 하천을 쉽게 즐길 수 있는 수변 중심 도시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며 “이번 용역을 통해 보존과 개발이 조화를 이루면서 수변의 공공성, 접근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변 관리 원칙·기준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장병진 기자 joyful@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