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필남의 영화세상] 그 시절 우리가 사랑했던 만화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영화평론가

영화 ‘더 퍼스트 슬램덩크’ 스틸 컷. (주)NEW 제공 영화 ‘더 퍼스트 슬램덩크’ 스틸 컷. (주)NEW 제공

농구 초보 주제에 자신을 천재라고 지칭하는 강백호. 백호가 리바운드를 배우고, 점프슛을 몸에 익혀 나가는 1년 동안 ‘나’도 백호와 함께 농구를 배웠다. 물론 코트에서가 아니라 글로 배웠다는 게 백호와 다르지만 말이다. 농구라고는 해본 적도 하고 싶은 적도 없었지만, 농구를 사랑하게 만든 그 작품. 1990~1996년 주간 만화잡지 ‘소년챔프’에 연재된 ‘슬램덩크’를 빌려보기 위해 책방을 들락날락거린 그 시절. 나의 학창 시절이 암울하지 않았던 이유는 바로 ‘슬램덩크’ 덕분이다.

일본 만화인지 국산 만화인지 알지도 못한 채 자연스레 접한 ‘슬램덩크’나 ‘드래곤볼’ 등의 만화책을 통해 꿈과 희망, 열정 그리고 유머를 배웠다. 그 중 ‘슬램덩크’는 꺾이려는 마음이 들 때마다 다시 일으켜 세웠던 그 시절 나의 특별 참고서였다.

1990년대 만화 ‘슬램덩크’ 영화화

‘더 퍼스트 슬램덩크’ 인기몰이

강백호 대신 송태섭이 주인공

3D 애니메이션·클린샷 장면 인상적

수업 시간 몰래 읽던 ‘슬램덩크’를 영화화한다는 소식을 듣고서 큰 기대감은 없었다. 만화책이 한창 인기를 끌 무렵 만들어진 20분 내외의 애니메이션은 만화 속 농구 경기의 스피디함과 역동성을 구현하기에 완성도가 턱없이 떨어져 충격과 실망감이 컸기 때문이다.

전국 제패를 꿈꾸는 북산고 농구부 5인방의 열정과 도전을 소재로 하는 만화 ‘슬램덩크’는 세계적으로 1억 7000만 부가 판매된 히트작이고, 한국에서도 1450만 부 가까이 팔린 수많은 팬을 보유하고 있는 만화이기에 극장판 소식은 누군가에겐 반가움을 또 누군가에게는 어린 시절의 기억을 망가뜨리는 건 아닌지 우려스러웠을 것이다. 그럼에도 내가 ‘더 퍼스트 슬램덩크’를 외면할 순 없었던 이유는 원작자인 이노우에 아케히코가 감독 겸 각본을 맡으면서, 그 시절 우리가 그리워했던 주인공들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궁금증 때문이었다.

먼저 ‘더 퍼스트 슬램덩크’는 원작에서의 마지막 경기 과정을 다루면서, 원작에 없는 이야기가 포함되어 있다. 북산고가 전국 제패에 다가가기 위해서 최강 산왕공고를 이겨야만 하는데 극장판은 원작과 동일하게 이 경기를 중심으로 진행하면서, 주인공을 백호에서 송태섭으로 바꾸는 선택을 한다. 천재 서태웅도, 불꽃남자 정대만도, 고릴라 주장 채치수도 아닌 송태섭이 주인공인지 궁금했다. 독특한 인물들이 즐비한 북산고에서 주목을 덜 받은 인물이 송태섭이기도 한데, 영화를 보면 감독이 왜 그를 주인공으로 바꿨는지 알 수 있다. 포인트 가드 태섭은 경기 전체를 들여다보고, 팀 내에서 가장 많이 움직이며, 골을 가장 잘 넣을 수 있는 동료에게 패스하는 팀의 사령관이기도 하다. 그는 자신이 돋보이기보다는 팀을 먼저 고려하고, 팀에 흐름을 가져다주는 존재였다.

어린 시절에는 화려하고 과감한 플레이를 하는 선수가 눈에 먼저 들어왔다. 덩크슛을 넣고 높이 날아올라 리바운드하는 플레이어를 보며 나 또한 그들처럼 스포트라이트를 받고 싶었다. 하지만 어른이 되고서 백호나 태웅이는 누구든 될 수 있지만, 맡은 일을 묵묵히 해내는 태섭의 역할이 어려운 일임을 알게 되었다. 20대에 처음 ‘슬램덩크’를 그렸던 원작자도 만화의 팬들과 함께 나이가 들면서 화려한 북산고의 농구를 지탱하는 힘이 태섭에게서 시작한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은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영화는 농구장에 들어온 듯한 현장감과 입체감을 주기 위해 3D 애니메이션을 도입하는데, 특히 정대만이 넣는 클린샷 장면은 디테일하고 부드럽게 느껴지는 등 기존 스포츠물과 다른 생동감을 부여한다. 또한 북산고와 산왕공고의 경기 종료 직전 모든 음악과 대사를 뺀 채 화면으로만 신을 구성하는데, 그 순간 극장 안에는 묘한 긴장감이 감돈다. 이미 결론을 알고 있음에도 다음 장면이 궁금해지는 건 이 애니메이션이 잘 만들어졌기 때문일 것이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