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변수 고차 방정식에 복잡해진 낙동강벨트 셈법
북강서갑 선거구 강서 독립이 초미 관심
김도읍 강서행 때 여야 인물 조정 도미노
외부인사 투입론 사하구 너도나도 군침
3선 5명은 중진교체론에 험지출마론도
선거구제 개편에 문 전 대통령까지 변수
“선거에 영향을 미칠 만한 거의 모든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동하고 있다.” 1년 2개월도 채 남지 않은 이른바 ‘낙동강벨트’의 총선 상황이다. 낙동강벨트는 부산 북강서갑·을, 사하갑·을, 사상과 경남 김해갑·을, 양산갑·을 등 9개 선거구를 말한다. 이들 지역에선 선거구 조정과 선거구제 개편, 3선 이상 중진 불출마 및 험지 출마론, 외부 인사 투입, 인물난 등 다양한 요인이 내년 총선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하나 하나가 총선 결과에 심대한 영향을 미칠 메가톤급 변수다.
그중에서도 북구와 강서구의 선거구 조정은 휘발성이 가장 큰 요인이다. 중앙선관위가 최근 국회 정치개혁특위에 공문을 보내 ‘자치구·시·군 일부 분할 금지’ 조항을 들어 강서를 독립시키고 북구를 분구하도록 공식 요청했기 때문이다. 강서구는 선거구 획정 기준일인 지난 1월 말 현재 14만 3066명으로 인구 하한(13만 5521명)을 7545명 초과하고 북구(27만 8575명)도 인구 상한(27만 1042명)을 7533명 웃돈다.
강서가 독립선거구가 되고 북구가 2개로 나뉘면 총선 출마자들의 대이동이 불가피하다. ‘강서 토박이’인 김도읍(국민의힘) 의원은 강서에 남을 가능성이 높고, 더불어민주당 지역위원장인 변성완 전 부산시당 대행도 젊은층이 많은 명지신도시를 겨냥해 강서에서 출마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다. 북구에서는 박민식 보훈처장의 복귀 여부가 아직도 정해지지 않아 총선 구도가 어떻게 될지 불투명하다. 북구에 새 선거구가 추가된다면 신인들의 각축장이 될 공산이 크다. 민주당에선 전재수 의원과 정명희 전 북구청장이 동시에 도전할 확률이 높다. 현재 북강서을의 화명·금곡동 이외에 북강서갑의 일부 동이 신설되는 지역으로 이동하게 된다.
3선 이상 중진들의 거취도 주목된다. 법적으로 강제하진 못하지만 일부 정치권과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3선 이상 총선 불출마’ 요구가 거세다. 현재 이 곳에는 국민의힘 조경태(사하을)·김도읍(북강서을)·장제원(사상)·윤영석(양산갑) 의원과 민주당 민홍철(김해갑) 의원 등 3선 이상 중진이 5명 포진해 있다. 이들 중 한 명이라도 자진해서 총선 불출마를 선언할 경우 다른 중진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국민의힘 당권주자인 안철수 의원은 영남권 중진을 향해 ‘험지 출마’를 주장한다. 총선에 나서려면 수도권이나 민주당 강세 지역에 출마하라는 의미다. 실제 일부 중진은 인접 지역구의 민주당 현역의원과 맞붙는 방안까지 감안해 포괄적으로 득표 활동을 펼치는 것으로 전해졌다.
외부인사 투입론도 무성하다. 대표적인 곳이 사하구 선거구다. 이 지역은 대동·동아·혜광고 또는 동아대 졸업생이나 남해 출신이 적극적으로 노린다. 실제 친여 성향의 조승환(대동고) 해양수산부 장관과 경윤호(혜광고) 한국자산관리공사 감사, 박성근(혜광고) 총리 비서실장, 김장실(경남공고) 한국관광공사 사장 등이 출마 후보군으로 거론된다. 기존 후보군으로는 김척수 사하갑 당협위원장과 조정화 전 사하구청장, 김소정 변호사, 노재갑 전 부산시의원 등도 출마를 준비 중이다.
선거구제 개편도 무시 못할 변수다. 만약 중대선거구제가 도입될 경우 같은 당 출마자끼리 치열하게 공천 경쟁을 벌여야 한다. 현재 갑·을로 나뉘어져 있는 김해를 한개 선거구로 묶게 되면 민주당 민홍철·김정호 의원이 1장의 공천 티켓을 놓고 서로 맞붙는다는 얘기다. 동부경남에 터를 잡고 있는 문재인 전 대통령과 김경수 전 경남지사의 영향력도 주목할 대목이다.
권기택 기자 ktk@busan.com
권기택 기자 ktk@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