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북항 친수공원 개방 발목 잡는 행정 편의주의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공원 관리기관 확정 늦어 전면 개방 지연
중구 쪽 개장 서둘러 BIE 실사 대비해야

부산항 북항 1단계 재개발사업지에 조성된 친수공원 중 일부가 개방된 시설의 하나인 문화공원 야경. 부산일보DB 부산항 북항 1단계 재개발사업지에 조성된 친수공원 중 일부가 개방된 시설의 하나인 문화공원 야경. 부산일보DB

부산 중구와 동구에 걸친 부산항 북항 1단계 재개발사업지에 조성된 친수공원의 전면 개방이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다. 친수공원은 지난해 12월 18만 3891㎡ 규모로 준공됐지만, 3개월가량 경과한 현재까지 전면 개방 일정을 잡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근본 원인이 중구청과 동구청이 공원을 나눠 관리하기로 뒤늦게 결정된 데 있다고 하니 어처구니없다. 중구 지역 친수공원은 관리사무실이 설치되지도 않아 공원 개장이 2~3개월 정도 더 지연될 예정이라 시민들은 분통이 터진다. 재개발사업을 맡은 부산항만공사(BPA)와 부산시, 중·동구의 준비성이 부족한 행정을 나무라지 않을 수 없다.

북항 친수공원 관리권이 두 구청으로 나뉜 것은 바다를 매립한 재개발사업지의 행정구역을 둘러싼 중·동구 간 관할권 다툼에서 비롯됐다. 결국 사업지의 행정구역이 중구와 동구로 나뉘면서 친수공원의 행정구역도 중구 쪽 9만 1340㎡, 동구 쪽 9만 2550㎡로 분할된 게다. 하지만 BPA와 부산시는 이러한 결과에 따른 문제를 예측할 수 있었으나, 사전 논의에 소홀하고 친수공원 관리주체를 미리 확정하지 못해 문제를 키웠다. 부산시가 자체적으로 직영, 부산시설공단 위탁, 각 구청 위임 등 3개 관리방안을 놓고 많은 시간을 허비하다 지난해 말에야 구청 위임을 결정한 것도 친수공원 준공에 맞춘 개방이 불가능했던 이유다.

문제점은 또 있다. 하나의 친수공원을 두 구청이 각각 관리하게 돼 관리사무실을 추가로 만들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해서다. 지난해 5월 임시 개방된 동구 쪽 공원과 달리 중구 쪽 공원에는 관리사무실이 없어 건물 신축을 위해 BPA의 설계와 예산 확보가 필요해졌다. 중구청은 관리사무실 없는 공원을 이관받을 수 없다는 입장이다. 재개발사업지 땅을 더 많이 확보하려고 동구와 행정소송을 불사하던 적극적인 모습과는 대조적이다. 이 같은 국면에 놓인 친수공원의 전면 개방은 2~3개월 더 늦춰질 수밖에 없다. 이에 BPA, 부산시, 구청은 원인과 책임이 서로에게 있다며 남 탓으로 돌려 무사안일하고 편의주의적인 행정이란 지적을 받는다.

북항 친수공원은 국가 경제 발전을 위한 항만시설로 인해 오랜 세월 불편과 희생을 감내한 시민을 위한 시설이다. 전면 개방이 무책임 행정에 발목이 잡히는 바람에 노무현 전 대통령 지시로 ‘시민이 슬리퍼 신고 와서 즐길 수 있는 북항’을 만들려는 취지가 퇴색하고 있다. 친수공원이 준공 직후 원활하게 개장했더라면 다음 달 2~7일 국제박람회기구(BIE)의 2030부산월드엑스포 실사에서 좋은 평가를 받는 데 크게 기여했을 것이다. 현재 중구 쪽 공원은 정비가 이뤄지지 않은 채 낚시꾼 등 일반인 출입이 방치돼 안전사고 우려가 높다. 관계 기관들이 하루빨리 공원을 전면 개방해 안전하고 친숙한 시민 휴식공간 역할을 하도록 머리를 맞댈 일이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