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역사관이냐 YS기념관이냐…시민 지혜 모은다

김경희 기자 miso@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시, 중앙공원 내 건립사업 추진
명칭·목적 등 전문가 의견 팽팽
26일 토론회 열어 여론 수렴
당위성·콘텐츠·발전 방안 공유

부산 민주주의 역사기념관(가칭) 조감도. 부산시 제공 부산 민주주의 역사기념관(가칭) 조감도. 부산시 제공

부산시가 ‘YS기념관’으로 불리는 부산 민주주의 역사기념관(가칭) 건립을 위해 시민들의 의견을 듣는다.

부산시는 오는 26일 오전 10시 30분 부산시청 12층 국제회의장에서 기념관 건립을 위한 대시민 토론회를 개최한다고 12일 밝혔다.

부산 민주주의 역사기념관은 민주주의 가치를 확산하는 플랫폼으로서 광복기념관, 민주항쟁기념관을 아우르는 ‘민주주의 클러스터, 부산’의 앵커시설로 역할을 기대하며 시가 2021년부터 추진하고 있다.

시는 국비와 시비 등 약 250억 원을 들여 부산 중구 중앙공원 내 약 5000㎡ 부지에 지상 3층, 지하 1층 규모의 역사기념관을 건립하는 사업이다. 2025년 초 착공해 2026년 말 준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시는 2021년 12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 기념관의 건립 방향에 관한 연구용역을 시행했다. 이 용역을 통해 기념관은 ‘평등·자유 등 민주가치 교육·체험시설’로서의 민주주의 미래관과 ‘대통령 기념시설’ 형태의 YS기념관을 건립하는 두 가지 방안이 제시됐다.

용역 과정에서 문헌 연구와 시민 인식조사, 건립 후보지 조사 등이 이뤄졌고, 지난 3월 31일에는 전문가 토론회가 열렸다.

시는 앞서 전문가 토론회에서 기념관이 왜 부산에 건립돼야 하는지, 무엇을 기념하는 것인지, 어떻게 전달할 것인지에 대한 열띤 논의가 있었다고 전했다.

YS기념관으로 세워질 경우, 부산이 김 전 대통령의 정치적 고향이라는 상징성이 있고, 부마민주항쟁과 문민정부의 공과를 활용해 민주주의 가치를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평가됐다. 반면 부산을 정치적 고향으로 하는 대통령이 다수이고, 정치적 찬반 논란이 있을 수 있으며 기념 콘텐츠가 부족하다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됐다.

또 민주주의 미래관은 시민 인식조사 결과 ‘대통령 기념시설’보다 높은 선호도를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전문가들의 의견은 달랐다. 부산지역의 정체성을 전혀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과 함께 자유·평등 등 민주주의 체험관에 채워질 콘텐츠의 모호성과 기존 민주공원 프로그램 등과의 중복성 등의 문제가 제기됐다.

무엇보다도 토론회에서는 타 시도에 비해 부산의 민주화운동 기념시설이 부족하다는 점과 그에 따른 건립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대가 형성됐고, 다소의 온도 차는 있지만 대통령 기념시설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인식이 공유됐다.

실제로 2023년 현재 국내의 민주화운동 기념시설은 5·18민주화문화공원 등 7곳이 건립돼 있고 3곳이 추가 건립 중인 광주가 가장 많다. 건립을 추친하는 시설까지 포함하면 서울 3곳, 창원 3곳, 대구 2곳 등이며, 부산은 부산민주공원 내 민주항쟁기념관이 유일하다.

또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가 2021년 실시한 시민 인식조사에 따르면, 1979년 10월 16일부터 20일까지 부산과 마산 지역에서 벌어진 박정희 유신독재에 반대한 시위사건인 ‘부마민주항쟁’에 대한 부울경 시민들의 인지도는 100점 중 54.5점으로 낮은 편에 속했다.

시는 전문가 토론회 등에서 의견이 모아지지 않자, 이번에는 다시 시민들을 초대해 폭넓은 의견을 직접 수렴하기로 했다.

이번 토론회는 ‘부산 지속가능한 민주주의 매핑 (Mapping) YS기념관 건립 의의와 추진 방향’이라는 주제발표를 시작으로 지정토론, 질의응답, 자유토론 순으로 진행된다. 토론회 참가 신청은 오는 18일까지 전화 또는 이메일로 하면 된다.

이수일 시 행정자치국장은 “이번 토론회는 그동안 시에서 준비한 기념관 건립의 당위성과 주요 콘텐츠, 발전방안 등을 공유, 설명하고 시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청취하기 위한 자리”라며 “기념관은 ‘민주주의’가 핵심 콘텐츠인 만큼 시민들의 참여로 만들어가는 새로운 유형의 시설물로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김경희 기자 miso@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