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부산 해수욕장 침식 전국 최악

탁경륜 기자 takk@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심각·우려 등급 비율 88.9% 차지
2018년 33.9%로 양호하다 악화
전국 평균보다 배 이상 높은 기록
수백억 투입 연안 정비 사업 무색

해양수산부가 조사한 ‘2022년 연안 침식 실태조사 현황’에서 D등급(심각)을 받은 부산 송정해수욕장의 1960년 모습(위)과 3일 현재 모습. 정종회 기자 jjh@·해운대구청 제공 해양수산부가 조사한 ‘2022년 연안 침식 실태조사 현황’에서 D등급(심각)을 받은 부산 송정해수욕장의 1960년 모습(위)과 3일 현재 모습. 정종회 기자 jjh@·해운대구청 제공

부산의 해안가에서 백사장 면적이 줄어드는 침식 현상이 전국에서 가장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1970년대와 비교해 백사장 폭은 3분의 1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수백억 원이 투입된 연안정비사업 이후에도 백사장 폭이 줄어드는 모습을 보여 특단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해양수산부가 조사한 ‘2022년 연안 침식 실태조사 현황’에 따르면, 전국 해수욕장 중 부산 지역 해수욕장의 해안 침식 상태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수부는 매년 해수욕장 백사장 면적 등을 조사해 침식 정도에 따라 A등급(양호), B등급(보통), C등급(우려), D등급(심각)으로 나눠 평가한다. 전체 해수욕장 중 C등급과 D등급이 차지하는 비율인 ‘침식우심률’을 보면 지난해 부산은 88.9%로 전국 1위를 기록했다. 해수부는 지난해 6~10월 전국 해수욕장 218곳을 대상으로 침식 상태를 분석했다.

부산에서는 해수욕장 9곳 중 7곳이 C등급을 받았고, 송정해수욕장이 D등급을 받아 총 8곳이 ‘우려’ 수준 이상을 보였다. 그마나 일광해수욕장이 유일하게 B등급을 받았다.



전국적으로 보면 해수욕장 218곳 중 C등급 71곳, D등급 15곳이었다. 부산은 전국 평균(39.4%)보다 배 이상 침식 위험이 높았다. 울산의 경우 60%, 경남은 48.7%의 침식우심률을 보였다. 가장 좋은 평가를 받은 전북의 경우 해수욕장 11곳 중 A등급 1곳, B등급 10곳이어서 침식우식률 0%를 기록했다.

2003~18년 부산의 침식우심률 평균은 33.9%로 전국에서 가장 낮았지만 최근 들어 급격하게 상승했다. 2017년 22.2% 수준이던 침식우심률은 지난해 88.9%를 기록해 위험도가 크게 높아졌다. 2013년 B등급을 받았던 송정해수욕장의 경우 지난해 D등급으로 하락했다. 1970년대 70~80m 수준이었던 송정해수욕장의 백사장 폭은 지난해에는 24~65m 수준으로 줄었다.

수백억 원이 투입된 정부의 연안정비사업 이후에도 백사장 면적이 감소해 정부와 지자체의 고심은 깊어지고 있다.

해운대해수욕장의 경우 1970년대 당시 백사장 폭이 70m 수준이었지만 인근 지역 개발, 태풍 등의 영향으로 모래 유실 현상이 발생해 2013년에는 36m까지 감소했다. 해수부는 2013~15년에 약 290억 원을 투입해 연안정비사업을 진행했다. 모래 58만㎥를 백사장에 붓는 양빈사업을 진행하고 돌제(육지에서 바다로 길게 내민 둑), 수중 방파제 등 구조물을 설치한 덕분에 백사장 폭은 80m 수준까지 증가했다. 정비 직후인 2015년에는 A등급을 받아 상황이 나아지는 듯했지만, 지난해 다시 폭이 63m 수준으로 줄어들어 C등급을 받게 됐다.

해운대구는 해수부 실태조사와는 별개로 침식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해운대·송정해수욕장 연안 침식 실태 조사 연구용역’을 진행 중이다. 또 강서구와 협의해 강서구의 준설토를 송정해수욕장으로 옮기는 양빈사업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양빈사업, 인공 구조물 설치뿐 아니라 자연상태 보존을 위해 연안 매입, 도시계획수립 등의 대안도 검토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부산대 정주철 도시공학과 교수는 "연안침식 문제를 사전에 고려하지 못한 부산의 경우 이미 연안개발이 많이 진행돼 문제가 심각하다"면서 "개발을 철저하게 규제하거나 개발할 때 연안취약성, 위험성 등을 제대로 검토해야한다”고 밝혔다.


탁경륜 기자 takk@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