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교대생 ‘통합 반대’… 교수·직원 ‘찬성’
부산대와 글로컬 대학 사업 찬반 투표
참여율 13%… 17일 교수회의 의결 주목
학내 분열 증폭 속 ‘총장 리더십’ 질타
학생 보호 등 구체적 방향성 제시 주문
부산대와 통합을 논의 중인 부산교대의 구성원 통합 찬반 투표에서 학생과 교직원, 교수의 의견이 엇갈렸다. 대다수의 학생은 통합에 반대하며 투표를 보이콧했고 교수, 교직원은 통합 찬성에 더 많은 표를 던졌다. 교대는 오는 17일 교수회의를 통해 통합 여부를 최종 결정하기로 했는데, 학내 의견이 나뉜 상황에서 총장이 나서 학내 갈등을 봉합하고 방향성을 정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11일 부산교대에 따르면 지난 10일 낮 12시부터 오후 6시까지 진행한 글로컬대학 사업 찬반 투표 결과 학내 구성원 2380명 중 315명이 참여해 찬성 181명, 반대 134명으로 집계됐다. 투표 참여율은 13%인데 전체 1453명 학부생 중 35명만이 투표에 참여한 것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날 투표에서 학부생 35명만이 투표했는데 학부생 중 찬성은 13명, 반대는 20명으로 나타났다. 대학원생은 749명 중 125명이 투표에 참여해 찬성 64명, 반대 61명으로 집계됐다. 학부생들은 이날 투표가 비민주적이고 졸속 진행이라며 사실상 투표를 보이콧했다.
교수진에서 찬성 비율이 높았다. 교수 82명 중 71명이 참여해 찬성 42명, 반대 29명으로 나타났다. 교직원(직원, 조교)은 96명 가운데 86명이 투표해 찬성(62명)이 반대(24명)보다 압도적으로 많았다. 교대는 오는 15일 대학 평의원회에서 이 사안을 논의한 뒤 17일 교수회의에서 최종 의결할 예정이다.
학내 구성원 간 의견이 뚜렷하게 엇갈리면서 17일 교수회의에 이목이 자연스레 집중된다. 이번 투표에서 학생이 반대하고 교직원은 찬성할 것이라는 전망은 나왔으나 교수진의 표심은 오리무중이었다. 하지만 교수진에서 찬성표가 더 많이 나오면서 교수회의에서 전격적으로 통합안을 의결할 것이라는 조심스런 예측도 나온다. 교수진은 교대의 정체성을 지켜야 한다는 의견과 장기적 관점에서 통합을 해야한다는 의견이 팽팽히 맞섰으나 기존 통합 논의에서는 교원종합양성 시설을 조성하기 위한 관련 예산이나 정부 지원 등이 불확실했으나 글로컬대학 사업으로 5년간 1000억 원 이상의 구체적인 지원안이 나온 것이 표심에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학생 반발이 표출된 시점에서 교수회의가 통합안을 의결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교육부가 공고한 글로컬사업 규정에 따르면 교육부는 글로컬대학을 6월까지 예비지정하고 3개월간 구성원 통합 동의서를 포함한 구체적인 계획을 선정 대학에 9월까지 요구하고 있다. 부산대,부산교대가 글로컬사업에 최종 선정되기 위해서 교수회의 의결이 있더라도 향후 학생 동의가 필수적이다. 교수 회의가 통합에 찬성하면 학생 반발을 교수진이 고스란히 떠안아야 하는 상황에서 통합 결정은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는 구조다.
찬반 투표, 교수회의 ,평의회라는 절차상 학내 갈등이 증폭되는 상황에서 교대 박수자 총장이 절차에 기댈 것이 아니라 결단을 내리고 전면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자연스레 나온다. 투표 결과가 교수회의가 특정 결정을 하기에는 부담이 되는 상황에서 총장이 ‘뒷짐’지고 있는 것이 학내 분열을 초래한다는 여론도 팽배하다. 통합 진행을 결단할 경우 통합을 반대하는 학생들에게 통합 이후 학생 보호 방안 등을 밝히고 통합하지 않을 경우 통합을 찬성했던 교수진과 구성원들에게 향후 부산교대 발전 방안을 구체적으로 밝혀야한다는 것이다. 11일 예정됐던 부산대, 교육부장관과의 3자 회동도 박 총장의 거부로 무산됐고 지난 9일 총장 주재 학생 설명회에서 학생들의 통합 관련 우려에 박 총장이 제대로 답하지 못한 점도 총장 리더십 부재를 질타하는 목소리로 이어지고 있다.
익명을 요청한 한 부산교대 교수는 “구성원의 의견을 듣고 절차적 민주주주의를 지키겠다는 핑계로 학교 최고 책임자인 총장은 뒤로 물러서 있는 형국이다”며 “학교 존폐가 결정되는 중대 사안인만큼 교수 회의에 미룰 것이 아니라 책임지는 자세로 향후 교대의 방향성을 구성원에게 밝혀야한다”고 꼬집었다.
김준용 기자 jundragon@busan.com , 양보원 기자 bogiza@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