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동해안 잇단 지진 발생 비상, 원전 안전대책 뭔가
규모 4.5 포함 3주간 36차례 감지
내진 성능 보강·방재 재원 마련 시급
동해안에서 지난달 23일부터 불과 3주간 규모 2.0 미만까지 포함해 36차례 지진이 발생했다. 15일 오전에는 강원 동해시 동북 해역에서 규모 4.5의 지진이 발생했다. 이는 해당 해역에서 생긴 지진 중 역대 가장 큰 규모였다. 한반도와 주변 해역에서 규모 4.5 이상 지진은 1년 5개월 만이다. 지진 빈도가 갑자기 늘어나면서 지역 주민은 놀란 표정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관계 당국도 지진위기경보를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재차 격상시키면서 긴장하고 있다. 활발한 단층 활동으로 인해 소규모 지진이 계속되다가 규모가 큰 지진으로 발달할 가능성을 우려하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번 지진이 ‘역단층에서 발생했다’를 제외하고는 파악된 사실이 전무하다는 점이다. 한국은 육지에 대한 단층 조사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바다 쪽은 사실상 ‘깜깜이’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기상청조차도 “해당 해역에 알려진 단층은 없다”라고 인정할 정도이다. 전문가들은 혹시라도 동해 해저 단층이 한꺼번에 붕괴하면 규모 7.0 지진까지 발생할 수 있다고 진단하고 있다. 역사적으로도 779년 경주에서 100여명이 사망했고, 1643년에는 울산에서 ‘땅이 갈라지고 바다 가운데 큰 파도가 육지로 1~2보 나왔다가 되돌아갔다’는 기록이 나올 정도로 대형 지진이 발생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부산에서부터 이어지는 동해안이 역사적으로 결코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경고다.
가장 우려스러운 점은 지진해일이 밀려올 정도의 강력한 지진이 발생하면 동해안을 따라 자리한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이다. 동해안은 고리(5)·새울(2)·월성(5)·한울(6) 등 무려 18개에 이르는 세계 최대의 원자력 발전소가 밀집돼 있다. 또한, 자동차, 조선, 가스, 정유, 철강, 정유, 배터리 등 국가 기간산업이 집중돼 재난 발생 시 국가적 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 게다가 부산·울산의 고리원전과 경북 경주의 월성원전 가까이에는 설계 때부터 지진 가능성을 고려해야 할 활성단층이 5개나 최근에 발견돼 언제라도 대형 지진이 일어나도 이상하지 않는 상황이다.
잦은 지진 빈도와 역사적으로 밝혀진 위험 신호를 볼 때 안심은 금물이다. 무엇보다도 친원전 정책을 표방하는 윤석열 정부가 원전 생태계의 완전한 정상 궤도 진입을 자화자찬하고, 원전 의존도를 높일수록 안전은 더욱 강조되어야 한다. 내진 성능 보강과 함께 전국 지자체들이 요구하는 방사능 방재 업무와 주민 대피 훈련을 위한 최소한의 지원책인 원자력안전교부세 법안의 신속한 통과가 절실하다. 원전 인근 해역 지질 구조와 활성단층 조사도 신속히 수행해야 한다. 일본 후쿠시마원전 사태에서 보듯 원전 사고는 한번 터졌다 하면 돌이킬 수 없다. 세계 최고 원전 밀집 지역인 동해안 주민들이 불안에 떨지 않도록 만반의 대비를 해야 한다. 국가의 존재 이유가 국민 안전이라는 점을 명심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