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 정어리 폐사체 처리 골머리
매년 어획량 늘어 폐사체도 증가
산소소비량 많아 질식사가 원인
공공소각장 공사…민간은 난색
올해도 남해안을 중심으로 ‘정어리 떼죽음’이 예고되면서 경남 창원시가 물고기 폐사체 처리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공공 소각장 일부가 보수공사로 사용이 어려운 데다 민간에서는 정어리 소각·재활용 처리가 까다롭다는 이유로 위탁 처리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시는 올해도 정어리 집단폐사가 발생할 것에 대비해 대응책을 구축 중이라고 16일 밝혔다.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은 올해도 지난해처럼 남해안 연안에 다량의 정어리 무리가 출연할 것으로 전망했다.
정어리 어획량은 증가세다. 2011년 2500t인 어획량이 2017년 8100t, 2022년 1만 2000t으로 늘었다. 올 7월부터는 해양수산부 어업규제 완화 시범사업을 통해 멸치잡이 권현만 어선이 정어리 등 다른 어종 혼획도 가능해졌다.
정어리는 분류학적으로 같은 목에 속하는 멸치나 청어보다 산소소비량이 많다. 산소소비량은 멸치 0.084, 청어 0.093인데 반해 정어리는 0.32로 약 4배나 높다.
실제 지난해 9월 30일부터 10월 29일까지 한 달 가까이 창원 마산만과 진해만 일대에서 수거한 정어리 229t도 빈산소수괴(산소부족물덩어리)에 의한 폐사로 나타났다. 즉 정어리 떼가 폐사한 해역의 산소가 부족해 질식사한 것이다.
당시 정어리 폐사체는 20t을 민간 재활용 업체에 맡기고, 나머지는 모두 소각 처리(공공 192t·민간 17t)했다. t당 민간 소각 비용은 27만 원, 재활용(퇴비화)은 25만 원이다. 공공 소각은 t당 10만 원으로 가장 저렴하지만, 이용이 불편한 상황이다.
시가 운영하는 소각장 중 처리용량이 비교적 큰 성산자원회수시설이 오는 9월부터 1년 이상 보수공사에 들어가서다. 공교롭게도 지난해 정어리 집단폐사 시기와 겹친다. 민간 위탁 규모가 응당 커진 실정이다.
그러나 민간 업체는 정어리 폐사체 처리를 꺼린다. 처리 과정에서 악취가 많이 발생하고 자갈 등 이물질이 많아 처리가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창원시 관계자는 “지난해 재활용 업체에서 딱 1번 정어리 폐사체(20t)를 처리한 뒤 기계가 상했다며 더 이상 수거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시는 지속해서 정어리 폐사체 소각·재활용 업체를 섭외 중이다. 기한 내 협조가 이뤄지지 않으면 처리 단가를 올리는 방안도 고민하고 있다.
강대한 기자 kdh@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