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부산대-부산교대 통합 확정 글로컬대 태풍 시작됐다
지역대학 활성화 위한 혁신적 결정
논의 가속화로 위기의 지방대 구해야
지역의 대표적 국립대학인 부산대와 부산교대가 ‘글로컬(Global+Local)대학 30’ 사업 참여를 전제로 통합을 최종 결정했다. 부산교대는 부산대의 제안에 따라 학내 구성원 투표, 대학평의원회를 거쳐 17일 최고의결기구인 교수회의에서 안건을 과반수로 통과시켰다고 한다. 지역거점국립대학과 교육대학이 통합한 것은 2008년 제주대와 제주교대의 통합 이후 두 번째다. 두 대학은 오는 31일까지 제출하는 교육부 글로컬대학 사업 제안서에 지원 예산 대부분을 통합에 사용해 부산교대 거제캠퍼스에 최첨단 교원 양성 전문기관을 구축하는 세부 실행 방안을 담을 계획이다. 오는 9월 이 사업에 최종 선정되면, 2027년까지 통합 절차가 본격적으로 진행된다.
두 학교가 위기 타개의 방안으로 통합 및 글로컬대학 선정으로 방향을 튼 것은 불가피한 선택이다. 2017년부터 시작된 지지부진한 통합 논의 기류가 급선회한 것은 교육부의 글로컬대학 사업과 학령 인구 감소가 원동력이 된 것으로 보인다. 글로컬대학은 지역대학 활성화를 통한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대학 통폐합 또는 고강도 혁신을 약속한 비수도권 지역대학에 5년간 최대 1500억 원을 지원해 세계 수준의 지방대를 만드는 것이 목표다. 대학재정지원 사업에 가점 부여 및 인센티브 등 혜택이 매우 광범위하다. 올해 10개 대학을 시작으로 2026년까지 30개교를 선정한다. 교육부는 사업 지정을 위해 대학 간 통합과 과감한 혁신, 산학·지역협력, 벽 허물기 등을 주문하고 있다.
향후 몇 년은 대학 혁신과 지역균형발전의 마지막 골든타임이다. ‘벚꽃 피는 순서대로 문 닫는다’는 비수도권 대학의 위기가 이미 현실화되고 있다. 2023년도 대학입시 정시모집 경쟁률이 3대 1에 못 미쳐 사실상 미달인 전국의 대학 68개 가운데 59곳이 비수도권이었다. 2040년 대학 입학 가능 인원은 28만 명으로 2020년(46만 명)보다 39.1% 급감한다. 정원을 채우지 못할 대학이 속출해 대학의 약 40%가 문을 닫아야 한다는 계산이다. 초중고 학생 숫자도 10년 이내로 대폭 감소해 교대와 사범대 졸업생의 임용률이 떨어지는 상황도 외면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번 부산대-부산교대 통합 확정을 계기로 지역의 다른 대학 통합 논의도 가속화하기를 기대한다. 정부에서 글로컬대학 정책을 균형발전을 위한 국가 어젠다로 내세운 만큼 기득권 및 복잡한 이해관계에 얽혀 머뭇거리면 생존마저 걱정해야 할 상황이다. 특히, 해양·수산 분야 핵심 경쟁력을 확보한 한국해양대와 부경대의 통합도 적극적으로 공론화할 필요가 있다. 지역 사립대들도 4년제와 전문대, 사이버대 등의 합종연횡으로 강점을 극대화해 강소대학으로 거듭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지역 대학의 혁신과 지역 활성화를 통해 청년들이 교육과 직장을 찾아 수도권으로 떠나는 악순환을 끊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