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오염수 50배라는데”… ‘중국 원전 삼중수소’ 돌발 변수로
중국 배출량 해마다 급증세
한국 인접 연안 등에 55기 가동
“한·중·일 협력 체제 구축 시급”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시기가 다가오는 가운데 중국 내 원전에서 방출하는 삼중수소 배출 총량도 무시할 수 없는 수준으로 나타나면서 ‘한중일 3국 안전협력체제’를 구축해야 한다는 제언이 전문가들 사이에서 나오고 있다.
7일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중국이 2021년 발간한 중국핵능연감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 내 전체 원전에서 2020년 한 해 배출한 삼중수소 총량은 1054T㏃(테라베크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같은 삼중수소 총량은 일본이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과정에서 배출량 제한 기준으로 계획 중인 연간 22T㏃의 약 50배 수준에 달한다. 또 214T㏃을 배출한 우리나라의 2022년 원전 배출 총량과 비교하면 5배가량 높다.
더욱이 중국은 자국 동부 해안에 원전을 꾸준히 늘리고 있는데도 우리 정부와 정치권, 시민단체 등에서는 일본 원전 오염수 말고는 중국 원전에서 배출되는 삼중수소에 대해서는 사실상 목소리를 내지 않고 있다.
일본은 2019년 한 해 원전에서 삼중수소 175T㏃을 배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은 후쿠시마 원전 폭발 사고 이전인 2010년에는 370T㏃을 배출했지만, 지금은 가동원전 수가 줄며 절반 이하로 줄었다.
반면 중국은 삼중수소 배출량이 2010년 215T㏃에서 2018년 832T㏃, 2019년 907T㏃로 빠르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은 2019년 기준 삼중수소 배출량이 1714T㏃, 중수로 원전만 가동하는 캐나다는 2020년 기준 삼중수소 배출량이 1831T㏃에 달했다.
세계원자력협회(WNA)에 따르면 중국은 현재 원전 55기를 가동 중으로 미국(93기), 프랑스(56기)에 이어 세계 3위 원전국가다.
23기를 새로 건설 중인 중국은 여기에 더해 남중국해에 해상 원전을 건립하겠다는 계획도 있었으나 규제 당국이 최종 승인을 보류한 것으로 최근 확인됐다.
중국 원전 대부분은 동부 연안에 몰려 있어 우리나라가 영향권에 든다. 현재 건설 중인 신규 원전도 한국과 가장 가까운 랴오닝성, 산둥성에 지어지고 있다.
이들 원전에서 배출된 삼중수소가 해류를 타고 한반도 근해로 들어올 수 있지만, 아직 의미 있는 농도 변화는 없다고 전문가들은 설명했다.
정동욱 중앙대 에너지시스템공학과 교수는 "후쿠시마 사고가 난 이후 우리 근해에서 삼중수소 농도를 측정하고 있지만 수치 변화가 없다"며 "오히려 중국 원전이 안전하게 관리되고 있는지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중국과 한반도가 위치한 위도가 편서풍대인 만큼 만약 중국에서 원전 사고가 발생하면 서쪽에 자리 잡은 한국이 방사능 영향을 받게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우리 정부는 중국과 일본 등 인접국에 대규모 방사성 물질 누출이 일어날 때를 대비해 대응매뉴얼을 제정해 운영하고 있다고 원안위는 설명했다. 행정안전부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운영하고, 원안위가 중앙사고수습본부를 운영하고 경보를 발령하는 등 12개 부처가 합동으로 대응에 나선다는 것이다.
또 국내외 방사능 이상 상황을 대비해 전국 231개소에 환경방사선감시기를 운영하고 있으며, 인근 해역 40개 지점에서 해수방사능 농도도 감시하고 있다고 원안위는 설명했다.
다만, 중국의 동해안 원전 증설에 대해 정부 차원의 별다른 입장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동욱 교수는 "(한중일) 3국 간 규제자 회의가 있지만 제대로 작동했다면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같은 문제로 시끄러울 일이 없었을 것"이라며 "조금 더 강력한 협력 체제를 만들어 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