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찾은 대만인 관광객, 처음으로 일본인 제쳤다

김성현 기자 kksh@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4월 방문객 1만 9240명 ‘껑충’
기존 1위 일본 1만 7585명 그쳐
직항 재개·호감도 상승 등 원인

현충일 징검다리 연휴 마지막날인 6일 오후 부산 해운대해수욕장에서 관광객들이 해수욕을 즐기고 있다. 6월 1일부터 부분 개장한 해운대해수욕장은 관광안내소~이벤트광장 300m 구간, 송정해수욕장은 관광안내소~복합이용존 150m 구간에 해수욕을 허용한다. 부산 7개 해수욕장 전면 개장은 7월 1일이다. 김종진 기자 kjj1761@ 현충일 징검다리 연휴 마지막날인 6일 오후 부산 해운대해수욕장에서 관광객들이 해수욕을 즐기고 있다. 6월 1일부터 부분 개장한 해운대해수욕장은 관광안내소~이벤트광장 300m 구간, 송정해수욕장은 관광안내소~복합이용존 150m 구간에 해수욕을 허용한다. 부산 7개 해수욕장 전면 개장은 7월 1일이다. 김종진 기자 kjj1761@

대만 관광객이 부산으로 몰려온다. 지난 4월 부산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 중 대만인이 처음으로 가장 많았다. 직항 노선 재개와 한류 붐에 더해 대만의 한국과 부산에 대한 우호적인 분위기가 대만 관광객 증가에 한몫했다. 특히 지난 3~4월 열린 경남 진해군항제에도 많은 대만인이 찾았다.

7일 부산관광공사에 따르면, 지난 4월 부산을 방문한 외국인은 16만 3265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11% 증가했다. 우리나라를 찾은 전체 외국인 증가세 594%(88만 8776명)보다 높다. 국가별로는 대만(1만 9240명)이 일본(1만 7585명)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대만이 1위에 오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아직 일본 국적기의 김해공항 직항 노선은 재개되지 않았지만, 대만 국적기 중화항공과 타이거에어는 지난 3월 부산 취항에 다시 나선 것이 큰 영향을 끼쳤다.

대만인이 최근 정치적인 상황으로 인해 중국보다 한국을 더욱 가깝게 느끼는 점도 원인으로 꼽힌다. 항성투어 조현용 대표는 “우리나라 공군 특수비행팀 ‘블랙이글스’가 지난 2월 호주 국제에어쇼에 참가하기 위해 비행할 때 대만에서 급유할 정도로 현재 한국과 대만은 정치적으로 군사적으로 가까운 사이”라면서 “중국에 대한 위기의식을 느낀 대만인들이 유례없이 한국 문화에 대해 관대하고 친근하게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또 부산시가 최근 출시한 외국인 전용 관광패스도 대만 관광객 유치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기준 유료 관광지와 대중교통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외국인 전용 ‘부산관광패스(비짓부산패스)’는 1만 6615장이 팔렸는데, 이 중 60.58%가 대만인이 구매했다. 2위인 홍콩(11.52%)보다도 압도적으로 많은 수치다. 부산관광패스를 구매한 외국인은 부산엑스더스카이, 블루라인파크 해변열차, 스카이라인루지 부산 등의 순으로 많이 방문했다. 이 시설들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인 2020년 7월~2021년 7월 사이에 개장하며 색다른 관광지로 매력을 뽐냈다.

대만 관광객은 지난 3월 25일부터 지난달 3일까지 경남 창원에서 열린 진해군항제에 많이 방문했다. 창원시에 따르면 올해 열린 61회 진해군항제에 총 450만 명 이상이 몰려 역대 최대 인파를 기록했다. 이 중 외국인은 12%인 54만여 명이 왔는데, 대만인이 22만 명으로 가장 많았다. 코로나 전인 2019년(8만 명)보다도 2.5배 이상 방문했다. 진해는 1949년 8월 이승만 전 대통령과 대만 장제스 총통이 회담한 역사적인 곳이기도 하다. 지난해 대만 지방선거에서 장제스의 증손자인 장완안 타이베이 시장이 당선된 영향이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재미난투어 최부림 대표는 “부산시가 코로나 기간에도 대만에 부산 마케팅을 해 왔고, 가오슝은 부산과 자매도시기도 해 대만인들이 친근하게 느끼는 것 같다”고 말했다.

부산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은 지난 3월 엔데믹 전환 후 본격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지난 1월 6만 3333명, 2월 6만 7800명으로 6만 명대에 그쳤지만, 지난 3월 12만 8724명으로 배가량 급증했다. 다만, 코로나 전인 2019년 4월(27만 3144명)보다는 아직 60% 수준이다.


김성현 기자 kks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