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 방류는 탱크 저장 비용 10분의 1 수준
일본 원전 오염수 방류 초읽기…일 방류 선택 왜?
당초 매립 등 다른 대안 검토
비용 부담 적고 쉬운 방식 선택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가 초읽기에 들어가자 환경단체와 전문가들은 국제사회의 우려를 해소할 대책을 촉구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2013년부터 후쿠시마 오염수 처리 방안 논의에 착수했다. 일본의 원자력 전문가들은 2016년 본격적으로 오염수 처리 방안을 제안했다. 처음에는 해양 방류와 대기 방출, 수소 방출, 지층 주입, 지하 매설 등 총 5개 방안을 검토했다. 이후 경제산업성 산하 오염수대책위원회가 해양 방류와 대기 방출을 최종 선택지로 제안하자, 일본 정부는 사실상 해양 방류를 추진해 왔다.
일본이 해양 방류를 밀어붙인 배경에는 저렴한 비용으로 상대적으로 가장 손쉽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판단이 크게 작용했을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일본 ALPS소위원회(다핵종제거설비 등 오염수 관리에 대한 소위원회)에 따르면 해양 방류에는 34억 엔(약 310억 원)이 필요하다. 대기 방출에는 이 금액의 10배가 넘는 349억 엔(약 3180억 원)이 든다. 초대형 탱크를 설치하거나 매립하면 최소 3000억 원에서 많게는 수조 원이 필요한 것으로 추산된다.
전문가들은 여러 대안을 제쳐 두고 일본 정부가 무차별적 ‘해양 투기’를 강행하는 것은 용인하기 힘들다고 지적한다. 서울대학교 서균렬 원자핵공학과 명예교수는 “역사상 유례가 없을 정도로 엄청난 양의 오염수가 바다로 버려지는 상황이다. 국민 안전과 세계 시민 건강권이 위협을 받는 상황에서 정화 비용을 따지는 것 자체가 이치에 맞지 않는 행동”이라고 비판했다.
서 교수는 이어 “오염수가 일체의 생명체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면서 안전하게 처분할 수 있는 다른 대안을 충분히 모색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예컨대 오염수를 10만㎥급 초대형 탱크에 장기 저장해 방사성 물질의 유해성이 충분히 줄어든 이후에 처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오염수를 건축 재료인 ‘모르타르’처럼 고체화해 매립·보관하는 방안도 대표적인 대안으로 거론된다. 원전 인근 부지에 반지하 콘크리트 용기를 조성한 뒤 내부에서 오염수에 시멘트, 모래 등을 섞어 굳히면 방사성 물질 유출 위험을 반영구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미국 조지아주 사바나 리버 핵시설의 오염수 처분에 사용된 방식이다. 서 교수는 “두 방안 모두 단기적인 대책으로 실행할 수 있다. 이처럼 해양 방류를 택하지 않고도 다른 대안을 마련할 시간은 충분하다”고 말했다.
환경운동연합 최경숙 상황실장은 “일본 정부가 관계자의 이해를 충분히 구한 뒤 (오염수 처리 방법을) 결정하겠다고 밝혀온 만큼, 초국경적인 시민 건강이 걸린 중대한 결정을 더욱 신중히 해야 한다”고 밝혔다.
손희문 기자 moonsla@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