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정책 영향, 제조업 비중·소득 낮은 부산에 더 크다
한은 부산본부·경제연구원 보고서
제조 비중 낮은 지역 내수 영향 커
저소득 가계 중심 금리 민감도 높아
"재정 정책·협력 통한 지원 실시해야"
제조업 비중과 소득 규모가 낮고 고령인구 비중과 가계부채 비율이 높은 지역일수록 정부의 통화정책 영향이 크다는 분석 결과가 25일 나왔다. 특히 세종시를 제외한 전국 16개 광역시도 가운데 부산, 제주도, 서울, 강원도가 타 지역에 비해 통화 정책의 영향을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 부산본부, 경제연구원은 이날 통화 정책에 따른 지역별 생산, 고용,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16개 시도의 2010~21년 분기별 패널 자료를 이용해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통화정책 충격의 지역별 영향 분석’ 보고서를 통해 밝혔다.
연구는 통화정책 충격에 대한 생산, 소비, 고용의 반응이 지역별로 차별화되는지 여부를 제조업 비중, 소득 규모, 고령인구 비중, 가계부채 비율을 기준으로 진행됐다.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 비중이 낮은 지역일수록 통화정책의 충격이 컸다. 수출 비중이 낮고 내수 비중이 높은 영향이다. 지역별 제조업 비중은 지난해 기준으로 울산이 61.0%로 가장 높고 충남(54.1%), 충북(51.5%)에서 50% 이상이며 서울(3.7%), 제주도(4.2%), 강원도(10.5%), 부산(17.2%) 등이 특히 낮다.
소득 규모에 따른 영향은 생산·소비·고용에서 모두 소득 하위지역이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분석했다. 2021년 기준 1인당 총소득은 울산이 6000만 원 이상으로 가장 높았으며 대구, 광주 등에 이어 부산이 2965만 원으로 세 번째로 낮았다. 박승문 한은 부산본부 경제조사팀 과장은 “저소득 가계와 소기업의 금리민감도가 높기 때문에 소득 수준이 낮은 지역일수록 통화정책의 영향력이 크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이 밖에 통화정책 충격도는 고령인구 비중 상, 하위 지역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가계부채 비율이 높은 지역에서 충격에 대한 반응이 늦게 나타난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끝으로 “경제 전체의 물가, 경기, 금융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되는 통화정책은 지역별 산업·인구·소득구조 등에 따라 그 효과가 차별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된다”며 부산, 제주, 서울, 강원 등 4개 지역이 통화정책의 영향을 보다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각 지역별로 미시적 정책 대응 수단의 활용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면서 구체적으로 “통화긴축 영향이 큰 지역에 대해서는 재정 정책과의 정책 협력을 통해 지원을 실시하고 통화정책 측면에서는 지방중소기업 지원자금 등을 보완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은철 기자 euncheol@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