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안일 부담' 가장 큰 나이는 38세…노년층 부담도 증가

황상욱 기자 eyes@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이미지투데이 제공 이미지투데이 제공

청소와 아이 돌보기 등 '무급 가사노동'의 부담이 가장 큰 연령은 38세라는 통계 분석 결과가 나왔다. 노년층의 가사 부담 비중도 과거에 비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이런 내용을 담은 '무급 가사노동 평가액의 세대 간 배분 심층분석' 결과(사진)를 27일 발표했다.

통계청은 새로 개발된 국민시간이전계정(NTTA, National Time Transfer Accounts) 통계를 토대로 가사노동별 소비와 생산의 차액인 생애주기 적자를 연령 계층별로 분석했다. 분석 결과 2019년 기준으로 유년층(0~14세)은 131조 6000억 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집안일을 하지는 않고, 부모로부터 돌봄과 청소 등 가정관리를 받기만 한 영향이다.

노동 연령층(15~64세)은 410조 원을 생산하고 281조 9000억 원을 소비해 128조 1000억 원 흑자를 냈다. 가정관리와 돌보기, 참여 및 봉사활동 등 대부분의 집안일을 도맡았다. 노년층(65세 이상)은 80조 9000억 원을 생산하고 77조 4000억원 을 소비해 3조 5000억 원 흑자였다. 유년층의 생애주기 적자는 노동 연령층에서 128조 1000억 원, 노년층에서 3조 5000억 원이 각각 순이전(유입)돼 충당됐다.


2019년 노동 연령층의 가사노동 생산 비중은 2014년 86.4%에서 83.5%로 2.9%포인트(p) 낮아졌다. 반면 노년층의 생산 비중은 13.6%에서 16.5%로 2.9%p 높아졌다.

인구 영향이 배제된 1인당 생애주기 적자는 0세에서 가장 높고(3638만 원), 이후 지속해서 감소하다가 26세에 흑자로 전환했다. 흑자 폭은 남녀 모두 38세에서 최고점을 기록한 뒤 완만하게 감소세를 보였다. 다만, 남자는 31세부터 흑자를 기록하다 47세에 적자로 돌아선 반면 여자는 25세부터 흑자로 진입한 뒤 84세에야 적자전환했다. 남자의 흑자 기간은 16년이었지만, 여자는 59년으로 남자보다 3.7배 많았다.

NTTA 통계는 국민계정(GDP)에 포함되지 않는 무급 가사노동 평가액의 생산, 소비, 이전의 연령별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개발됐다. 가사노동의 소비와 생산의 차이로 발생하는 개인의 생애주기별 적자·흑자 분포와 이를 충당하는 자원의 재배분 흐름을 성별, 세대별로 파악할 수 있다.

통계청은 "이번 통계 분석이 정부의 재정지출·육아 지원 등 저출산·고령화 대비 정책 수립의 근거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황상욱 기자 eyes@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