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기간 100조 이상 더 저축했다
팬데믹 3년 가계 초과저축
이전보다 최소 100조 늘어
소비 감소와 지원금 등 영향
3년간 지속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가계가 이전보다 100조 원 이상 더 저축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사회적 거리두기 등으로 소비가 제약된 데다 소득은 늘고 정부 지원금까지 더해진 영향이다.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팬데믹 이후 가계 초과저축 분석과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팬데믹 3년간(2020∼2022년) 가계부문 초과저축 규모는 101조∼129조 원으로 추산된다. 이는 명목 국내총생산(GDP)의 4.7∼6.0%, 민간소비의 9.7∼12.4% 수준이다.
초과저축은 팬데믹 이전 추세를 웃도는 가계저축액으로 정의됐다. 결국 코로나19 사태를 거치면서 가계의 저축 규모가 과거 통상적 수준보다 최소 100조 원 이상 더 불었다는 뜻이다.
초과저축 증가 원인으로는 팬데믹 직후의 소비 감소와 소득 증가 등이 꼽혔다. 대신 가계는 초과저축을 주로 예금·주식 등 유동성이 좋은 금융자산의 형태로 보유한 것으로 추정됐다.
한은 국민계정 통계를 보면 가계별 금융자산은 2020∼2022년 현금·예금·주식·펀드를 중심으로 1006조 원 늘었다. 2017∼2019년(591조 원)의 거의 두 배에 이른다.
조주연 한은 동향분석팀 과장은 초과저축의 긍정적 효과에 대해 “유동성 좋은 금융자산 형태의 초과저축은 앞으로 실물경제 측면에서 부정적 소득 충격이 있을 때 완충역할을 하면서 민간소비의 하방위험을 줄여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동시에 초과저축은 금융 불안의 잠재요인으로도 지목됐다. 조 과장은 “가계 초과저축이 대출과 함께 주택시장에 재접근하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며 “이 경우 주택가격 상승, 가계 디레버리징 지연 등으로 금융 안정에 부정적”이라고 덧붙였다.
김진호 기자 rplkim@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