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화마에 멈춘 거제관광모노레일, 민자로 다시 달린다
거제해양관광개발공사, 홍익관광개발 협약
110억 원 투자 조건 20년 궤도운영권 양도
하부승강장 재건축, 최신식 차량 25대 도입
공사, 자산 임대료 등으로 연 10억 원 수익
한밤중 발생한 화재 사고로 멈춰 선 경남 거제관광모노레일이 민자를 등에 업고 다시 달린다. 100억 원 이상을 재투자해 뼈대만 남았던 승강장은 다시 짓고, 차량도 새 모델로 전량 교체한다. 여기에 화려한 조명을 더해 야간 관광 활성화까지 꾀한다. 계획대로라면 내달 운행을 재개할 수도 있다. 관광객 유치의 효자로 전화위복에 성공할지 주목된다.
9일 거제해양관광개발공사에 따르면 공사는 최근 홍익관광개발(주)와 민간투자 협약을 체결했다. 홍익관광개발은 홍익여행사가 거제모노레일과 지세포 대관람차 개발‧운영을 위해 설립한 법인이다.
협약에 따라 공사는 궤도사업 운영권을 20년간 홍익에 양도한다. 홍익은 110억 원 상당을 투자해 하부승강장을 연면적 1191㎡ 3층 규모로 재건축하고 하이브리드 방식 모노레일 차량 25대를 새로 도입한다.
야간 관광 인프라도 확충한다. 모노레일 구간에 야간 경관조명을 설치해 탑승객에게 색다른 볼거리를 선사한다. 하부 승강장은 대형 LED 전광판과 경관 조형물로 꾸미고 상부 승강장은 고보조명, 미디어아트로 멋을 더한다.
대신 공사는 민간투자비를 제외한 모노레일 개발공사 자산분에 대해 감정평가를 거쳐 감정가액의 연 7%로 임대료를 받는다. 추정 감정가는 70~80억 원 상당으로 한 해 5억 원 이상의 수입이 기대된다.
이와 함께 공사는 모노레일 탑승객에게 포로수용유적공원 입장료 2000원을 따로 받기로 했다. 연 이용객 30만 명을 기준으로 임대료를 합쳐 매년 10억 원 안팎의 추가 수익이 보장되는 셈이다. 공사 독자 운영 당시 연 수입은 5억 원 안팎이었다. 여기에 협약 기간이 종료되면 공사가 운영권과 연관 시설 일체를 무상으로 되돌려 받는다.
애초 8월 말 복구 작업을 마무리하고 9월 운영을 재개하는 것을 목표로 잡았다. 하지만 긴 장마로 인해 하부승강장 공사가 일부 지연된 데다, 새 차량 제작도 더뎌 1~2개월가량 늦어질 전망이다.
공사 관계자는 “전 공정을 ‘패스트트랙’으로 진행 중이라 늦어도 11월 중엔 정상 운영이 가능하다”면서 “거제만의 특색 있는 관광 명소로 완성하겠다”고 밝혔다.
거제관광모노레일은 공사가 지역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해 77억 원을 들여 만들었다. 거제도포로수용소 유적공원 내 하늘광장에서 계룡산 상부에 있는 옛 미군 통신대까지 왕복 3.54km 노선을 잇는다. 관광형 모노레일로는 국내 최장이다.
2018년 3월 상업 운전을 시작해 지난해까지 누적 탑승객 65만 명을 돌파하며 지역 대표 관광지로 자리 잡았다. 무엇보다 시너지가 상당해 침체일로였던 주변 관광지와 상권도 모노레일 덕분에 살아나는 등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했다.
그런데 작년 10월, 한밤중 발생한 화재 사고 이후 운행이 중단됐다.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하부승강장 등 건물 2동이 모두 불에 탔고 모노레일 차량 15대 중 12대가 전소됐다. 당시만 해도 재개장 시점을 가늠하기 어려웠다. 공사는 그해 12월 ‘모노레일복구TF’까지 구성했지만, 진척은 더뎠다. 피해 규모가 너무 커 열악한 공사 재정으론 신속한 복구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다 지난 3월 홍익 측이 투자를 제안하면서 숨통이 트였다.
한편, 차량 탈선 사고로 운행을 중단한 통영 욕지도 관광모노레일은 여전히 안갯속이다. 욕지 모노레일은 통영시가 117억 원을 투입해 욕지도 본섬에 설치했다. 2019년 12월 개통해 누적 탑승객 18만 명을 넘어서며 연착륙하는 듯했지만, 2021년 11월 차량이 선로에서 튕겨 나가 탑승객 8명이 크게 다치는 대형 사고가 났다.
이후 경찰 조사에다, 책임 소재를 놓고 시공사와 시행사가 갑론을박을 벌이느라 시간을 허비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통영시 자체 안전진단 용역 결과, 운행 재개를 위해선 기초부터 레일까지 전면 재시공이 불가피한 것으로 분석됐다. 추정 예산은 최소 92억 원. 복구와 철거를 놓고 고민하던 통영시는 비탈 구간 경사를 줄이고 차량을 8인승에서 7인승으로 교체해 하중을 줄이는 등의 방법으로 계획을 수정, 복구 비용을 60억 원까지 낮췄다.
지금 추세라면 내년 초 착공해 하반기 중 운행을 재개할 수 있다는 계산이다. 시 관계자는 “안전이 최우선이다. 이용자가 100% 안심하고 탈 수 있도록 2중, 3중 안전장치를 갖춰 새로운 모습으로 선보일 방침”이라고 밝혔다.
김민진 기자 mjkim@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