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라도 찾으려 해도 국가는 외면했다 [8000 원혼 우키시마호 비극 ②]

이승훈 기자 lee88@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8000 원혼 우키시마호 비극 ②] 78년 사무친 유족의 한

생존자 빼도 8000여 명 희생
유족이 잠수부 대동해 찾기도
개인이 유해 발굴하기엔 한계
마이즈루 유해 집단 매장지
공장·도로로 뒤덮인 지 오래
조속히 민관조사단 꾸려야

그래픽=류지혜 기자 birdy@ 그래픽=류지혜 기자 birdy@

부산일보 | 1945년 8월 24일. 해방의 기쁨도 잠시, 강제동원 한국인을 태운 귀국선 ‘우키시마호’가 일본 마이즈루항 앞바다에서 침몰했다. 4730t급 거함은 돌연 뱃머리를 돌려 그곳으로 향했고, 의문의 폭발과 함께 사라졌다.

1945년 8월 24일. 해방의 기쁨도 잠시, 강제동원 한국인을 태운 귀국선 ‘우키시마호’가 일본 마이즈루항 앞바다에서 침몰했다. 4730t급 거함은 돌연 뱃머리를 돌려 그곳으로 향했고, 의문의 폭발과 함께 사라졌다.

그토록 그리던 고국 땅을 밟지 못한 채 수천 명의 한국인이 수장됐다. 일본이 발표한 한국인 공식 사망자는 524명. <부산일보>와 <서일본신문>은 우키시마호폭침진상규명회 및 옛 오미나토 해군시설부의 우키시마호 희생자 명단을 각각 단독 입수해 번역했다.

2023년 8월 8일. 78년이 흘렀지만 그들은 죽어서도 고향을 찾지 못한다. 배는 고철로 팔렸고, 대부분의 유해는 주변에 집단 매장되거나 바닷속에 잠겼다. 50년 전 각계의 노력 끝에 국내로 반환된 유골조차 뿔뿔이 흩어졌다.

<부산일보>는 자매지 <서일본신문>과 한일 지역언론사 최초의 공동기획으로 일본에 남은 유골을 되찾고 ‘잊힐 위기’에 놓인 우키시마호의 마지막 기록을 남긴다. 이미 봉환된 유골도 한데 모아 ‘그날’을 기억할 역사적 공간이 마련되길 바란다. 현 정부의 미래 지향적인 한일 관계를 위해서라도 반드시 풀어야 할 실타래다. 목적지 부산항을 향한 우키시마호의 마지막 항해다.

“제 나이 여든한 살입니다. 죽어서 아버지를 뵈면 적어도 ‘유골은 고국의 금수강산에 모셔뒀습니다’라고 할 수 있어야 하지 않겠습니까.”(유족 한영용 씨)


북위 35도 30분 3초, 동경 135도 21분 44초.

78년 전 우키시마호와 수천 명의 한국인이 가라앉은 지점이다. 육지와 거리는 고작 500m. 일본 북쪽 오미나토항에서 출발한 배는 부산항 방향이 아닌 일본 연안을 따라오던 중 마이즈루만 내해까지 들어와 폭발했다.

일부 생존자를 제외하고는 탑승객은 몰살했다. 1950년 일본 외무성 기록문서인 ‘우키시마호 인양요청서’에 따르면 배 탑승 인원은 8000여 명이었다. 고의 폭침 의혹을 최초 보도한 당시 부산일보에도 탑승객은 8000여 명으로 적시됐다. 당시 일본 해군 정보를 토대로 1만 2000여 명 이상이 탔다는 증언과 주장도 많았다. 우키시마호 유족회와 시민단체는 일부 생존자를 빼더라도 8000여 명이 희생된 것으로 본다.

마이즈루만 바다와 인근 육지에는 수많은 한국인 희생자가 78년째 매장돼 있다. 현재 집단매장 추정지를 아는 일본 주민이나 유족 등이 80대 이상 고령에 접어들어, 하루빨리 유해 발굴·조사가 이뤄져야 하는 상황이다.

앞서 2012년 우키시마호 유족회 한영용(81) 회장 등이 유해를 찾고자 두 명의 스쿠버를 대동하고 해저를 탐사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미 3m가량 펄이 뒤덮인 상태여서 개인이 발굴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한 회장은 “20년 동안 그렇게 외쳤건만, 정부는 유해 위치는 물론이고 피해 규모도 제대로 알지 못한다”면서 “유골, 유품이라도 찾아 역사물로 남기는 게 내 마지막 꿈”이라고 말했다.

 

■두 차례 인양에도 수백구만 수습

우키시마호 침몰 직후 시신과 유해는 마이즈루 해병단과 지역 주민에 의해 수습됐다. 너무 많은 시신이 갯가로 흘러 들어오면서 합동으로 화장되거나 뒷산 골짜기, 고구마밭 등에 매장된 것으로 알려졌다. 수심이 얕은 데다 사방에 해안가가 있다 보니, 침몰 이후 수많은 시신이 물속에 잠기거나 뭍으로 밀려든 것이다.

이후 1950년 3월, 일본 민간기업은 선미를 인양하며 103구의 유해를 공식 수습했다. 당시 선박 재사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인양이어서 유해와 유품을 제대로 회수하지 않았다. 1954년 1월에는 두 번째 인양이 이뤄져 245구의 유해가 수습됐다. 당시 조일우호협회가 일본 측에 유해 원형 보존을 요청했으나, 결국 선체는 다이너마이트로 폭파돼 훼손됐다. 이후 선수 부분을 들어 올리면서 배 위에 몰려 있던 수많은 유해가 바닷속으로 우르르 쏟아졌다.

인근 어민이 수습한 유해 중 일부는 인근 사찰로 옮겨졌다. 마이즈루 하마 지역 사찰인 지덕사 측은 수습된 당시 유해가 안치됐다고 밝히고 있다. 인근 서광사에도 전쟁 피해 무연고 유해 수천구가 안치돼 있는 상태다. 이 중 우키시마호 희생자 유해가 있을 가능성도 있다.

 

■해안도로, 공장으로 덮인 집단 매장지

일본의 시민단체인 마이즈루모임에 따르면 우키시마호 침몰 지점 인근 3개 권역에 유해를 집단 매장한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올 초 부산의 우키시마호희생자추모협회와 유족회가 유해 조사를 위한 사전 답사차 현장을 찾았을 때 매장 추정지에는 이미 해안도로나 공장 등이 지어진 상태였다. 제때 유해 발굴과 수습을 하지 못한 결과였다.

실제 집단 매장지로 알려진 마이즈루 시모사바카 추모공원 일대는 해안도로가 조성돼 있거나 큰 나무들로 뒤덮였다. 시모사바카 공원은 침몰지와 불과 500m 떨어진 곳으로, 대형 우키시마호 추모비도 건립돼 있다. 다른 매장지로 알려진 마이즈루 시립 오우라 초등학교 앞 해안가도 제조업체 등의 건물이 들어서 있다. 이 밖에 해상자위대 마이즈루교육대는 군사시설이라 내부 확인이 불가능했다.

현재 우키시마호희생자추모협회 측은 행정안전부에 유해 발굴·봉환을 위한 민관 조사단 구성을 요청한 상태다. 추모협회 김영주 회장은 “야산이나 침몰지 해저는 지금도 충분히 조사가 가능하고, 현지의 일본 시민단체 등도 적극 도울 것”이라며 “개인, 유족이 아닌 민관이 힘을 합한 조사단이 꾸려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텐지에도 280구…조기 반환 시급

선체 인양 후 수습돼 마을 사찰에 안치됐던 유해 중 일부는 1958년 일본 후생성 창고로 옮겨졌다. 이후 1965년 후생성 인양원호국을 거쳐 1971년 6월 도쿄의 사찰 유텐지에 안치됐다.

창고에 있던 유해가 유텐지로 옮겨진 경위를 두고는 여러 주장이 제기된다. 특히 후생성 창고에 방치된 유해를 안타깝게 여기던 한국인 교포들을 중심으로 유텐지 보관을 적극 추진한 정황이 있다. 1964년 국내 언론들은 버려진 듯 창고에 보관된 유해를 지적하는 기사를 잇따라 보도했다.

유텐지에 보관된 우키시마호 희생자 유해는 남한 출신 275구, 북한 출신 5구로 총 280구다. 당시 유해 대부분이 합골, 분골돼 신원을 파악하려면 DNA 조사가 필요한 상황이다. 유족들은 DNA 조사가 어렵다면, 유해를 한데 모아 추모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기를 바란다.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이승훈 기자 lee88@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