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계절 해수욕장 부산, 입수객 안전부터 챙겨라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6일 60대 입수객, 파도에 휩쓸려 숨져
폐장 뒤 안전요원 철수… 보완책 절실

지난달 말 공식 폐장한 부산 해운대해수욕장에서 6일 60대 남성이 파도에 휩쓸려 떠내려갔다가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지난달 31일 해운대해수욕장에서 상인들이 피서객에게 대여하던 비치파라솔 등 물놀이 용품을 치우고 있다. 김종진 기자 kjj1761@ 지난달 말 공식 폐장한 부산 해운대해수욕장에서 6일 60대 남성이 파도에 휩쓸려 떠내려갔다가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지난달 31일 해운대해수욕장에서 상인들이 피서객에게 대여하던 비치파라솔 등 물놀이 용품을 치우고 있다. 김종진 기자 kjj1761@

지난달 말 공식 폐장한 부산 해운대해수욕장에서 6일 60대 남성이 파도에 휩쓸려 떠내려갔다가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당시 신고를 받고 출동한 소방과 해경이 이 남성을 수색 끝에 구조해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며 병원으로 옮겼지만, 끝내 숨졌다고 한다. 해수욕장의 공식 폐장으로 상주하던 안전요원이 철수하고, 덩달아 담당 지자체의 관심마저 느슨해지면서 빚어진 사고로 볼 수 있다. 이번 사고가 난 해운대해수욕장 역시 안전요원은 없었다. 지난달 말 강원도의 폐장한 해수욕장에서도 이와 유사한 사고로 해수욕객이 목숨을 잃기도 했다. 폐장한 해수욕장이라고 방치한다면 계속 이런 사고를 막을 수 없다.

공식적으로 폐장했음에도 불구하고 갈수록 늦더위가 길어지면서 해수욕을 즐기려는 피서객은 점점 늘고 있는 추세다. 전국 최고의 해수욕장 도시로 자타가 공인하는 부산 역시 마찬가지다. 특히 부산의 해수욕장은 단순히 해수욕만 즐기는 장소가 아니다. 부산의 문화까지 향유할 수 있는 사계절 휴양지로서의 면모가 갈수록 두드러지고 있다. 여름 피서철 한때만의 시각으로 부산 해수욕장을 바라보고 관리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이제는 말 그대로 사시사철 꾸준한 해수욕장 관리가 이뤄져야 할 때다. 하지만 이번 사고에서도 보았듯이 피서철 성수기와 그 외 시기의 해수욕장 안전관리 수준이 판이하다는 것이 문제다.

현재 해수욕장법에 따르면 바다 입수는 폐장 이후에도 가능하다. 게다가 폐장 뒤에도 피서객이 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해수욕장의 안전관리 역시 이에 발맞춰 바뀌어야 하는 게 순리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안전요원 배치가 대표적이다. 전국 대부분의 해수욕장은 폐장 이후 안전 요원을 두지 않고 있다. 아무래도 인력 부족이나 예산 문제가 가장 큰 걸림돌이다. 또 개장 기간엔 지자체가 사고 책임을 지지만, 폐장 이후엔 책임 의무가 없는 것도 한 요인이다. 다른 곳의 사정이야 그렇다고 치더라도, 명색이 해수욕장의 도시인 부산까지 그렇게 할 수는 없다. 해수욕장에 관한 한 안전 모델도 부산이 선도해야 한다.

비록 폐장은 했지만, 부산 해수욕장에서 입수객의 사망 사고가 발생한 것은 다른 곳과는 그 무게감이 다르다. 부산은 코로나19로 주춤했던 관광객의 방문이 최근 늘면서 다양한 해수욕장 콘텐츠 개발에 총력을 쏟고 있다. 앞으로 인파가 계속 몰릴 것인 만큼 안전요원의 연중 배치를 검토할 때가 됐다. 사고 방지 시설물 보강도 중요하지만, 일단은 폐장한 해수욕장 한두 곳부터라도 먼저 예산을 쪼개 시행해 보는 것이 좋겠다. 이는 부산이라서 할 수 있는 일이다. 무단 입수객에게 과태료를 물릴 수도 있겠으나, 그건 고육책일 뿐이다. 사계절 해수욕장을 지향한다면 한 차원 높은 입수객의 안전을 제공하는 일 역시 부산의 몫이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