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눈동자 방향 제각각 ‘소아 사시’ 치료 골든타임은?

김동주 기자 nicedj@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닥터큐 전문의를 만나다] 부산성모안과병원
시력 완성되는 만 7~8세 이전에 발견·치료해야
간헐외사시, 피곤할 때만 증상 나타나 주의 필요

두 눈동자가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정렬되지 않은 경우를 ‘사시’라고 한다. 사시는 유아와 소아·청소년이 환자의 절반 이상을 차지할 만큼 아이들에게 흔한 질환이다. 사시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현재까지 알려진 것은 두 눈으로 들어오는 시각 정보를 하나로 통합하는 과정을 방해하는 굴절이상이나 약시, 뇌의 이상, 눈 근육 및 신경 이상, 유전질환, 한쪽 시력이 안 좋은 경우 등이다.

부산성모안과병원 김선아 원장은 “영유아 시기에 스마트폰 등 가까운 곳을 오랫동안 보게 되면 조절 작용이 과다해져 근시 발생이 빨라지고 눈 피로도를 증가시켜 기존 사시 상태를 더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생후 3~4개월에도 눈을 잘 맞추지 못하거나, 피곤할 때 초점이 맞지 않는 경우, 대화할 때 다른 곳을 보는 느낌이 드는 경우, 고개를 기울이거나 옆으로 돌려서 보는 경우, 눈을 자주 깜빡이거나 햇빛에 나가면 한쪽 눈을 찡그리는 경우는 사시를 의심해 볼 수 있다.

사시가 있다면 기본적인 검사를 통해 사시안을 방해하는 요소가 있는지 살펴본다. 그 후 사시 각도를 측정하고 안구운동검사와 입체시 검사를 통해 사시의 정도를 평가하고 치료계획을 세운다. 약시가 있으면 하루에 몇 시간씩 시력이 좋은 눈을 가려서 약시가 있는 눈으로 사물을 보도록 도와줘야 한다. 가림 치료는 어릴수록 효과적이다.

부산성모안과병원 김선아 원장이 어린이 환자를 진료하고 있다. 부산성모안과병원 제공 부산성모안과병원 김선아 원장이 어린이 환자를 진료하고 있다. 부산성모안과병원 제공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 사시인 간헐외사시는 평소에는 정상이지만 피곤하거나 멍하게 있을 때 한쪽 눈이 바깥쪽을 향하는 증상이다. 항상 나타나는 증상이 아니다 보니 알아차리지 못해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늦지 않게 발견하면 안경 착용, 가림치료 등 비수술적 치료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이 방법으로 개선이 어려우면 수술적 치료를 한다. 수술은 눈을 움직이는 근육의 힘의 균형을 조절해 안구 위치를 바로잡는 치료법이다. 수술은 보통 만 4세 이후부터 시행하지만, 증상과 빈도에 따라 수술 시기는 달라질 수 있다.

내사시는 한쪽 눈이 항상 코 쪽으로 몰려 있는 항상내사시로 진행되기 쉽다. 한쪽 눈만 내사시가 있는 경우는 정상 시력으로 발달하지 않을 위험이 크고 입체시 발달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빠른 치료가 필요하다. 영아기에 심한 내사시로 진단받으면 2세 이전에 수술하기도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 아이들의 경우 코 부위의 피부가 눈의 흰자를 덮고 있어 사시가 아닌데도 눈이 가운데로 몰려 보이는 경우도 많다. 아이의 눈 위치가 다른 아이들과 달라서 걱정되거나, 영유아 검진에서 조금이라도 의미 있는 소견을 받으면 안과전문의를 찾아가는 것이 좋다.

김선아 원장은 “시력은 만 7~8세 이전에 완성되기 때문에 조기 발견이 중요하다”며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면 시기능 저하뿐만 아니라 대인관계 스트레스 등 일상생활에도 지장을 줄 수 있으므로 6개월마다 안과 검진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김동주 기자 nicedj@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