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때 추락한 폭격기 유해 찾자”…한미, 해운대 수중조사

손혜림 기자 hyerimsn@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과 미국 국방성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DPAA)은 지난 7일부터 오는 27일까지 부산 해운대 앞바다에서 6·25전쟁 당시 추락한 미군 항공기 및 조종사 유해 소재를 확인하기 위해 한·미 유해발굴 공동 수중조사를 하고 있다고 22일 밝혔다. 해군작전사령부 장병들이 구조지원정에 탑재된 소나(SONAR)를 조사지점에 투입하기 위해 준비와 설치를 하고 있다. 국방부 제공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과 미국 국방성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DPAA)은 지난 7일부터 오는 27일까지 부산 해운대 앞바다에서 6·25전쟁 당시 추락한 미군 항공기 및 조종사 유해 소재를 확인하기 위해 한·미 유해발굴 공동 수중조사를 하고 있다고 22일 밝혔다. 해군작전사령부 장병들이 구조지원정에 탑재된 소나(SONAR)를 조사지점에 투입하기 위해 준비와 설치를 하고 있다. 국방부 제공

한미가 6·25 전쟁 때 부산 해운대 앞바다에 추락한 미군 폭격기 기체와 조종사 유해를 찾기 위한 공동 수중 조사에 나섰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과 미국 국방성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DPAA)은 지난 7일부터 오는 27일까지 부산 해운대 앞바다에서 6·25전쟁 당시 추락한 미군 항공기 및 조종사 유해 소재를 확인하기 위해 한·미 유해발굴 공동 수중조사를 하고 있다고 22일 밝혔다.

한미가 해상에서 6·25 전쟁 전사자 유해 발굴을 위해 수중 조사를 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조사는 한·미동맹 70주년을 계기로 추진됐다. 지난해 미국의 요청으로 지난 4월 한미 공동조사 기간 양국이 수중조사 관련 협의를 시작했다.

조사에는 미국 DPAA에서 파견한 잠수사·수중고고학자 등 조사인력 13명과 주한 미 해군 잠수사 7명이 참여했다. 한국에서도 조사 전문인력과 해난구조전대 잠수사 10명, 함정 등을 투입했다.

이번 조사는 연안 면적 약 20㎢ 해역에서 수중탐지 장비로 탐색한 후, 특이 물체가 확인되면 잠수사와 원격조종탐지기로 해저면의 전투기 잔해 등을 추가로 확인하는 식으로 진행된다.

조사 대상은 1953년 1월께 부산 K9 비행장에서 임무 수행을 위해 이륙 직후 해상으로 추락한 미 제5공군 소속 B-26 폭격기 1대와 조종사 유해다. 미국 DPAA는 당시 미군 3명이 실종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조사 해역에는 해군작전사령부와 주한 미 해군사령부의 지원으로 선체 고정형 소나(음향탐지기)를 탑재한 소해함(MSH), 특수 장비인 원격 조종 탐사와 감압 체임버, 소나 등을 구비한 구조지원정(YDT), 미국 측 특수장비인 사이드 스캔 소나 및 자기 탐지기를 탑재한 고속단정(RIB) 등이 투입돼 수중탐사 능력을 한층 높였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과 미국 국방성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DPAA)은 지난 7일부터 오는 27일까지 부산 해운대 앞바다에서 6·25전쟁 당시 추락한 미군 항공기 및 조종사 유해 소재를 확인하기 위해 한·미 유해발굴 공동 수중조사를 하고 있다고 22일 밝혔다. 선체 고정형 소나를 탑재한 구조지원정이 조사해역에 투입돼 수중조사를 하고 있다. 국방부 제공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과 미국 국방성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DPAA)은 지난 7일부터 오는 27일까지 부산 해운대 앞바다에서 6·25전쟁 당시 추락한 미군 항공기 및 조종사 유해 소재를 확인하기 위해 한·미 유해발굴 공동 수중조사를 하고 있다고 22일 밝혔다. 선체 고정형 소나를 탑재한 구조지원정이 조사해역에 투입돼 수중조사를 하고 있다. 국방부 제공

수심이 깊은 먼바다에서는 소해함 선체에 장착된 수중음파탐지기를 이용해 해저 형상을 탐색했다. 한미 수중조사팀은 고속단정에 탑승해 사이드 스캔 소나와 자기 탐지기를 끌고 다니며 해운대 인근 수심 약 5~25m의 바닥을 샅샅이 훑었다. 이후 한미 잠수사들이 의심지점으로 선정된 곳에 투입해 금속탐지기, 수중 네비게이터 등을 이용해 수중조사를 벌였다.

미국 DPAA 패트릭 앤더슨 대위는 “국가를 위해 희생한 분들에 대해서 국가가 책임을 져야 한다는 신념으로 수중조사에 참여하고 있다”며 “실종자 소재를 확인할 수 있는 단 1%의 가능성이 있다면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를 추진한 국방부 이근원 유해발굴감식단장은 “한미 동맹 70주년을 맞이해추진된 이번 공동 수중조사를 계기로 양국의 유해발굴 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갈 수 있었다”며 “남은 조사 기간에도 우리의 자유와 번영을 수호한 미군 실종자 소재를 찾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미는 이번 공동 수중조사 결과에 따라 미군 전사자 유해발굴을 위한 추가 조사 및 발굴을 검토할 예정이다.


손혜림 기자 hyerimsn@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