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물살 타는 푸틴 북한 답방… 꽁꽁 숨기던 러, 보란 듯 공표
유엔본부서 사절단 계획 밝혀
북러 밀착 군사협력 기조 과시
러시아가 지난 23일(현지 시간) 유엔 무대에서 자국 사절단의 북한 방문 계획을 전격 공식화한 배경에 국제사회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방북 이유를 ‘북러 정상 합의’로 못 박으면서 이달 러시아를 방문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약속했던 ‘평양 답방’ 이행이 급물살을 탈지 주목된다.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이날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북러 정상회담 후속조치로 내달 북한 평양을 방문하겠다고 밝혔다. 라브로프 장관은 그러면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이 합의한 데 따른 것”이라고 언급했다. 유엔총회를 계기로 서방 주요국을 포함한 각국 대표가 한자리에 모인 가운데 보란 듯이 북러 밀착 기류를 과시한 셈이다.
이와 관련, 러시아 외무부는 라브로프 장관의 회견 하루 전날 러시아 국영 스푸트니크 통신 인터뷰를 통해 “고위급 대표단 교류를 비롯한 북한과의 협력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러시아가 이처럼 북러 정상회담 후속 조치를 지속적으로 공개 언급하며 신속한 후속 움직임에 나선 것을 두고 다소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2019년 4월 러시아에서 정상회담이 열렸을 때는 이튿날 북한 매체가 김 위원장의 방북 초청을 푸틴 대통령이 수락했다고 보도했음에도 불구하고 러시아 측에서는 공식 반응이 전혀 없었던 데다 답방 역시 성사되지 않았다.
2000년 7월 이후 23년간 북한을 찾은 적이 없는 푸틴 대통령이 2011년 김 위원장 집권 이후 처음으로 북한 땅을 밟게 될 경우 양국 군사협력 기조도 더욱 탄력을 받게 될 전망이다. 또한 오는 10월 중국 베이징에서 개최되는 제3차 ‘일대일로’(중국과 유라시아를 육해상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경제권을 형성하는 초대형 프로젝트) 정상회의에 푸틴 대통령이 참석할 것으로 알려진 만큼, 북중러 3국 정상회담 가능성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점쳐진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