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육상 남자 400m 계주, 37년 만에 ‘금빛’ 동메달

정광용 기자 kyjeong@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이정태·김국영·이재성·고승환
결선서 38초74 한국 타이기록
1986년 서울 아시안게임 이후
역대 두 번째 메달 획득 ‘쾌거’

한국 육상 단거리 대표팀 고승환, 이재성, 김국영, 이정태(왼쪽부터)가 3일 중국 항저우 올림픽 스포츠센터에서 열린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남자 400m 계주 결선에서 값진 동메달을 차지한 뒤 시상식에서 메달을 들어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 육상 단거리 대표팀 고승환, 이재성, 김국영, 이정태(왼쪽부터)가 3일 중국 항저우 올림픽 스포츠센터에서 열린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남자 400m 계주 결선에서 값진 동메달을 차지한 뒤 시상식에서 메달을 들어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 육상 남자 400m 계주 대표팀이 금메달 못지않은 귀중한 동메달을 따냈다.

한국 남자 단거리 계주팀은 3일 중국 저장성 항저우 올림픽 스포츠센터 주경기장에서 열린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육상 남자 400m 계주 결선에서 38초74의 기록으로 3위로 결승선을 통과, 동메달을 획득했다. 금메달은 38초29의 중국, 은메달 38초44의 일본이 차지했다.

한국이 아시안게임 남자 400m 계주에서 메달을 딴 건 37년 만이다. 한국은 1986년 서울 아시안게임에서 성낙균, 장재근, 김종일, 심덕섭이 출전해 이 종목 첫 메달을 따냈다. 이후 무려 37년 만에 두 번째 메달을 목에 걸게 됐다.

3일 중국 항저우 올림픽 스포츠센터에서 열린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남자 400m 계주 결선에서 한국 마지막 주자인 고승환(왼쪽 두 번째)이 3위로 결승선을 통과하고 있다. 한국 대표팀은 1986년 서울 아시안게임 이후 37년 만에 동메달을 따냈다. 연합뉴스 3일 중국 항저우 올림픽 스포츠센터에서 열린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남자 400m 계주 결선에서 한국 마지막 주자인 고승환(왼쪽 두 번째)이 3위로 결승선을 통과하고 있다. 한국 대표팀은 1986년 서울 아시안게임 이후 37년 만에 동메달을 따냈다. 연합뉴스

이정태(27·안양시청), 김국영(32·광주광역시청), 이재성(22·한국체대), 고승환(26·광주광역시청)이 이어 달려 작성한 38초74는 한국 타이기록이기도 하다. 2014년 오경수, 조규원, 김국영, 여호수아가 세운 38초74 기록을 9년 만에 다시 달성한 것이다.

남자 100m 한국기록(10초07) 보유자인 김국영을 중심으로 똘똘 뭉친 계주 대표팀은 2일 열린 예선에서 한국기록보다 0.01초 느린 38초75의 기록으로 전체 2위에 올라 메달 획득 가능성을 높였다. 결국 결선에서 예선보다 0.01초 줄인 한국 타이기록을 세우며 메달의 꿈을 현실로 만들었다.

다만 예선에선 박원진(20·속초시청)이 고승환 대신 최종 주자(앵커)를 맡아 뛰었다. 남자 400m 계주는 4명이 트랙 위를 달리지만, 6명으로 팀이 구성된다.

37년 만의 메달 획득에 한국 단거리 간판이자 최고참인 김국영은 눈시울을 붉혔다. 김국영은 2010년부터 아시안게임 4회 연속, 세계선수권대회 5회, 올림픽 1회 출전 기록을 갖고 있지만 메달 획득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국 육상 단거리 대표팀 김국영, 이정태, 고승환, 이재성(왼쪽부터)이 3일 중국 항저우 올림픽 스포츠센터에서 열린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남자 400m 계주 결선에서 동메달을 차지한 뒤 태극기를 두른 채 세리머니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 육상 단거리 대표팀 김국영, 이정태, 고승환, 이재성(왼쪽부터)이 3일 중국 항저우 올림픽 스포츠센터에서 열린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남자 400m 계주 결선에서 동메달을 차지한 뒤 태극기를 두른 채 세리머니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국영은 “마지막 아시안게임에서 드디어 내 첫 메달을 땄다. 한국신기록도 세우고 국내 대회에서 우승도 많이 했지만, 이 정도 규모의 대회에서 태극기를 휘날린 건 이번이 처음이다”며 감격스러워 했다. 이어 김국영은 “학연, 지연 등 모든 걸 떠나 한국 최고의 스프린터 4명이 모였다. 그 결과, 37년 만에 메달이 나왔다”며 “나는 아시안게임에 더 출전할 수 없지만, 3년 뒤 일본 아이치·나고야 아시안게임에서는 후배들이 꼭 일본, 중국을 제치고 우승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정광용 기자 kyjeong@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