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약한 고리’ 다중채무자 448만 명…역대 최대

김진호 기자 rplkim@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가계대출자 넷 중 하나, 세 곳 이상서 대출
평균 대출 1.3억·DSR 62%
가계대출자 171만 명은 DSR 100% 넘어

3개 이상의 금융기관에서 최대한 대출을 끌어다 쓴 이른바 다중채무자가 약 450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채무자는 한국은행과 금융당국 등이 고금리에 가장 취약한 금융 계층으로 간주하고 집중 감시·관리하는 대상이다. 한 은행에 주담대 관련 안내문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 3개 이상의 금융기관에서 최대한 대출을 끌어다 쓴 이른바 다중채무자가 약 450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채무자는 한국은행과 금융당국 등이 고금리에 가장 취약한 금융 계층으로 간주하고 집중 감시·관리하는 대상이다. 한 은행에 주담대 관련 안내문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

3개 이상의 금융기관에서 최대한 대출을 끌어다 쓴 이른바 다중채무자가 약 450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채무자는 한국은행과 금융당국 등이 고금리에 가장 취약한 금융 계층으로 간주하고 집중 감시·관리하는 대상이다.


16일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가계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말 현재 국내 가계대출 차주(대출자) 수는 모두 1978만 명, 이들의 전체 대출 잔액은 1845조 7000억 원에 이른다.


이는 한은이 자체 가계부채 데이터베이스(약 100만 대출자 패널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다. 직전 1분기와 비교하면 차주 수와 대출 잔액이 각 1만 명, 4000억 원 더 늘었다. 다만 1인당 평균 대출잔액은 3개월 사이 9334만 원에서 9332만 원으로 소폭 감소했다.


특히 3개 이상 금융기관에서 대출받은 다중채무자 규모나 비중은 역대 최대 기록을 갈아치웠다. 다중채무자는 2분기 말 448만 명으로 1분기보다 2만 명 늘었다.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다중채무자가 전체 가계대출자에서 차지하는 비중(22.6%)도 사상 최대 수준이다. 이들의 전체 대출 잔액과 1인당 평균 대출액은 각 572조 4000억 원, 1억 2785만 원으로 추산됐다. 3개월 사이 3조 3000억 원, 113만 원 줄었다.


다중채무자의 평균 DSR은 61.5%로, 직전 분기보다 0.5%포인트(P) 떨어졌지만, 여전히 소득의 60% 이상을 원리금 상환에 써야 하는 상태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은 대출받는 사람의 전체 금융부채 원리금 부담이 소득과 비교해 어느 정도 수준인지 가늠하기 위한 지표다.


보통 당국과 금융기관 등은 DSR이 70% 안팎이면 최소 생계비 정도를 제외한 대부분의 소득으로 원리금을 갚아야 하는 상황으로 간주한다. 다중채무자들이 평균적으로 이 수준의 한계에 거의 이르렀다는 뜻이다.


다중채무자의 연체율도 2분기 말 현재 1.4%로 1분기보다 0.1%P 더 올랐다. 2020년 1분기(1.4%) 이후 3년 3개월 만에 가장 높다.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소득(소득 하위 30%) 또는 저신용(신용점수 664점 이하) 상태인 ‘취약차주’의 2분기 말 현재 DSR은 평균 67.1%였다. 취약차주 37.8%(48만 명)의 DSR이 70% 이상이었고, 이들의 대출은 전체 취약차주 대출액의 68.2%(64조 9000억 원)를 차지했다.


한은은 최근 ‘금융안정 보고서’에서 “작년 하반기 이후 가계대출 연체율이 금융권 전반에서 오르는데, 특히 2020년 이후 취급된 대출의 연체율 상승 압력은 비은행 금융기관에서 크게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2020년 이후 취약차주(저소득·신용 다중채무자)들의 대출이 은행보다 비은행 금융기관에 집중된 만큼 이들의 연체율도 비은행권을 중심으로 가파르게 오를 수밖에 없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전체 가계대출자의 평균 DSR은 2분기 말 39.9%로 추산됐다. 특히 DSR이 100% 이상인 차주도 전체의 8.6%나 차지했다. 171만 명(전체 1978만 명 중 8.6%)에 이르는 가계대출자의 연 원리금 상환액이 소득과 같거나 소득보다 많다는 뜻이다.


김진호 기자 rplkim@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