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임 지원 확대·규제 완화로 경남 섬 관광 활성화를”

김민진 기자 mjkim@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한국해양산업협회 등 간담회
이용자 감소 선사 경영난 가중
“도 차원 수익구조 개선 나서야”
야간운항 허용 등 법 개선 요구

경남여객선발전협의회와 한국해운조합 동남권역본부, (사)한국해양산업협회는 지난 9일 경남 통영에서 ‘제1회 경상남도 섬 관광 활성화 간담회’를 열었다. 김민진 기자 경남여객선발전협의회와 한국해운조합 동남권역본부, (사)한국해양산업협회는 지난 9일 경남 통영에서 ‘제1회 경상남도 섬 관광 활성화 간담회’를 열었다. 김민진 기자

“여객선도 대중교통인데 너무 비싸다. 운임을 대중의 눈높이에 맞추는 게 급선무다.”

침체에 빠진 경남의 섬 관광을 다시 일으키고 안정적인 해상교통망 확보를 위해선 운임지원 확대 등 제도적 지원책과 함께 야간운항 허가 등 규제 완화가 절실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경남여객선발전협회와 한국해운조합 동남권역본부, (사)한국해양산업협회는 지난 9일 경남 통영에서 ‘제1회 경상남도 섬 관광 활성화 간담회’를 열었다.

이날 공개된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통영운항관리센터 자료를 보면 경남권 여객선 이용자는 2017년 231만여 명으로 정점을 찍었다. 욕지·한산·사량도 등이 유명 관광지로 주목받은 덕분이다. 하지만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사회적 거리 두기가 시행되면서 2020년 159만여 명으로 급감했다. 이후 지난해 4월 거리 두기가 해제되면서 191만여 명으로 회복세를 보였지만, 올해 다시 내림세로 돌아서면서 대다수 선사들이 경영난에 허덕이고 있다.

고유가 여파로 리터당 583원이던 연료유가 1129원으로 2배 가까이 오른 데다 인건비도 상승하면서 원가 상승률이 작년보다 36.8% 급등했지만, 제한된 수요에 운임은 제자리인 탓이다. 이로 인해 경남을 연고로 하는 여객선사 9곳이 불과 2년 사이 40억 원이 넘는 적자를 떠안았다. 경영난을 견디다 못한 선사 2곳은 아예 문을 닫았다.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통영운항관리센터 제공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통영운항관리센터 제공

발제에 나선 김학범 한국해운조합 경남지부장은 “국민의 이동권 보장 등을 위해 손해를 보더라도 운항을 지속하는 정기 여객선의 특성상 경영 위기가 불가피하다. 최악의 경우, 폐업으로 항로가 아예 끊어질 수도 있다”고 짚었다.

이어 “여객선사 수익구조의 탄력적 회복을 위해 안팎의 불확실성을 상쇄할 수 있는 제도적 지원책이 필요하다”며 가장 현실적이면서 효과적인 해법으로 운임 지원 확대를 꼽았다.

경남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여객선 이용자 중 해당 섬에 사는 도시민은 17%, 32만여 명에 불과했다. 나머지 83% 159만여 명은 관광객 등 일반인이었다. 이들은 섬 관광 불편 요소로 △다른 교통수단에 비해 높은 여객선 운임 △선박으로만 이용해야 하는 낮은 접근성 △기상이변 등으로 인한 예측 불가능성 △관광 인프라 부족 등을 꼽았다. 이 중 제도적 지원을 통해 당장 해소 가능한 게 운임이라는 설명이다.

현재 경남과 인접한 경북은 물론 전남·북, 인천 등은 이미 광역지자체가 나서 운임 지원 사업을 펴고 있다. 반면 경남은 제도의 초점이 섬 주민 불편 해소에 맞춰진 탓에 일반인에 대한 지원은 통영 등 기초지자체가 제한적으로 시행 중이다. 김 지부장은 “도 차원에서 지원 대상을 늘리면 도민 부담 경감과 섬 주민 편익 증진, 섬 관광 활성화 세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통영운항관리센터 제공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통영운항관리센터 제공

실제 올해 초 통영지역 선사 2곳이 섬 알리기 캠페인의 하나로 자체 시행한 운임 할인 이벤트 결과만 봐도 고무적이다. 통영시민은 무료, 동반자 50% 운임을 적용했더니 2월 관광 비수기에도 통영~연화~욕지 항로는 작년 대비 167%(7522명→1만 2534명), 통영~비진도~매물도 항로는 251%(4709명→1만 1836명)까지 수송 실적이 증가했다. 김 지부장은 “지금의 법과 제도에서 운임 지원이 최선의 대안”이라고 했다.

이와 함께 야간운항 허용, 해상교통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소외도서 항로 특별 면허제도 신설, 열악한 시설과 서비스 마인드 개선, 해운법과 유도선법으로 이원화된 관련법 통합 등 법과 제도 정비도 시급한 현안으로 꼽혔다.

김창진 한국해운조합 동남권역본부장은 “선사도 살아야 섬 관광도 활성화될 수 있다”면서 “앞으로 현장 목소리에 더 귀 기울이며 개선할 부분이 있으면 적극 개선되도록 서포트하겠다”고 약속했다.


김민진 기자 mjkim@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