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글로컬대학 부산대, 지역 발전 견인차 기대한다
혁신 통해 지방소멸 극복 거점 대학 돼야
동반 성장과 부산 정주 인재 양성도 중요
부산교대와의 통합 계획을 앞세운 부산대가 13일 정부의 대규모 대학 재정 지원사업인 글로컬대학에 최종 선정돼 재도약의 기회를 잡았다. 글로컬대학은 정부가 인구 감소 등으로 생존 위기에 놓인 지역 대학을 살리기 위해 5년간 1000억 원을 대학에 지원하는 사업이다. 부산대가 이번에 정부가 1차 지정한 전국 10곳의 글로컬대학 중 하나로 선정됨으로써 2018년부터 부산대와 부산교대 간에 혁신 차원에서 논의되다가 지지부진한 통합 추진이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무엇보다 부산대가 튼튼한 지방 거점 대학으로 새롭게 성장할 것이 기대되는 만큼 이 과정에서 부산과 동반 발전을 통해 지역소멸 위기 극복에 기여할 필요가 있다.
부산대가 글로컬대학에 선정된 것은 사범대를 가진 4년제 종합대와 교육대학의 전국 첫 통합 모델로 높은 점수를 받은 것이 주효했다는 평가다. 비수도권 대학들은 “벚꽃 피는 순서대로 망한다”는 말이 세간에 유행할 만큼 폐교 위기에 봉착해 있다. 학령 인구 감소와 청년층의 수도권 집중으로 정원을 채우지 못하는 지방대가 수두룩한 게 엄연한 현실이다. 이런 상태에서 부산대·부산교대 통합은 절체절명의 상황을 기회로 만들 수 있는 대학 개혁의 신호탄이란 점에서 정부의 관심은 지대하다. 이는 전국 곳곳에서 경쟁력 확보를 위해 논의 중인 대학 간 통폐합에 파급력이 크므로 원활하고 성공적으로 추진되길 바란다.
부산대가 교대와 물리적으로 통합하는 데 머물러선 곤란하다. 단순히 두 대학 통합에 치중한다면 글로컬대학 사업에 막대하게 투자되는 국민의 혈세만 아깝게 되는 셈이다. 어려움에 처한 지방대를 회생시키고 소멸위기가 심화하는 지역도 살리려는 사업 취지에도 맞지 않다. 그동안 지역사회가 부산시와 함께 부산대의 글로컬대학 지정에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은 이유가 있다. 그것은 대학 존립에 필요한 혁신에서 나아가 지역, 산업계와 긴밀히 협력하고 상생하며 동반 성장해 부산경제 활성화에 앞장서 달라는 염원이다. 특히 부산에 뿌리내리고 살며 지역의 희망을 키우는 글로벌 인재 양성에 대한 기대감이 크다. 부산대가 지역 발전의 진정한 견인차가 돼야 한다는 것이다.
부산대는 이같이 지역과 시대의 요구에 부응한 투철한 사명감으로 사업을 추진해야 마땅하다. 지역 거점 대학으로서 부산의 미래 핵심 지역으로 꼽히는 강서구 에코델타시티, 해운대구 센텀2지구 등의 사업에도 대학 발전과 연계한 협력에 힘써 노력할 일이다. 부산대가 글로컬대학으로 성공하려면 부산시의 행정 지원도 중요하다. 정부를 대신한 예산 지원은 물론 각종 업무 지원을 전담하는 부서를 만들어 탄탄한 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정부는 2026년까지 20곳가량의 비수도권 글로컬대학을 추가로 뽑을 계획이다. 부산 사립대들이 실효적인 학교 개혁안과 지역 상생 방안을 갖고 도전해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길 당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