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 현실화·퇴직 인력 협력사 이동 등 상생 방안 찾아야"

권상국 기자 ksk@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울경 해양기자재협동조합
조선산업 인력 수급 토론회
정보 공유·해결 방안 모색해
조선업 외국인력 비자 설명도

부산·경남·울산조선해양기자재공업협동조합은 16일 윈덤그랜드부산에서 ‘영남권 조선인력 수급대책 및 지원방안 토론회’를 개최했다. 조합 제공 부산·경남·울산조선해양기자재공업협동조합은 16일 윈덤그랜드부산에서 ‘영남권 조선인력 수급대책 및 지원방안 토론회’를 개최했다. 조합 제공

현장 인력을 구하지 못해 발을 구르는 조선해양업계가 인력 수급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자리를 가졌다.

부산·경남·울산 조선해양기자재협동조합은 16일 부산 서구 윈덤그랜드부산에서 ‘영남권 조선산업 인력수급 및 지원방안 토론회’를 개최했다. 현대미포조선과 중소기업중앙회 등이 후원한 이날 토론회에는 기자재 생산업체와 지자체 지원기관 등 관계자가 한 자리에 모여 인력 수급 정보를 공유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했다.

이날 1세션에서는 목포대 송하철 총장이 조선해양산업 인력수급 현황 및 대책을 주제로 발표를 시작했다. 송 총장은 “조선해양업체가 몰려 있는 거제도에서는 내국인 인력을 구하기 힘들어 거의 모든 인력을 외국에서 수급하고 있을 정도”라며 현장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수도권으로 인력과 인프라가 밀집되면서 지역에서는 외국인을 데려오기도 힘든 데 정주 여건까지 충족시켜야 하는 상황이 됐다는 설명이다.

송 총장은 “협력사 인력 평균 연령을 살펴보면 20대 비율은 8% 수준일 정도여서 10년 뒤에 용접이 가능한 내국인 기능인력은 기대를 버리는 게 좋다”면서 “협력사에서는 인력 유지를 위해 임금을 현실화하고, 원청사는 퇴직한 인력이 협력사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정보를 공유하는 등 상생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2세션에서는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외국인력지원센터 박종복 센터장이 나서 인력 부족에 시달리는 협력사 대표들을 상대로 조선업 외국인력 비자(E-7) 도입 개요를 설명했다.

E-7 비자는 특정활동 비자로 일반 기능인력을 수급하는 데 이용된다. 박 센터장은 “현장에서 가장 부족한 인력이 용접공과 전기공, 도장공인데 정부가 E-7 도입절차를 개편하고 기술 검증을 민간에서 맡게 되면서 현장 인력 수급에 물꼬가 트였다”고 말했다.

실제로 법무부의 외국인 노동자 비자 개편으로 당초 올해 수급 목표였던 1만 4000명은 3분기에 이미 충원이 완료된 상태다. 이 중 7700여 명이 고용 추천이 완료됐고, 이중 6900여 명이 법무부 비자심사까지 완료해 현장에 투입됐다.

박 센터장은 변경된 비자 수속 절차를 설명하며 “협력사 대표라면 내국인 인력의 30% 이내를 고용할 수 있는 등의 조항을 염두에 두고 수급 인력 규모와 임금 등을 미리 가늠해 봐달라”고 당부했다.

마지막 3세션에서는 중조기업중앙회 외국인력지원실 김형우 과장이 발표자로 나서 2023 외국인력 활용 제도 개선 현황에 대해 밝혔다.

김 과장은 “분야마다 인력 부족을 호소하고 있어 올해 일반 외국인근로자 E-9 신규입국 쿼터를 확대해 기존 11만 명에서 12만 명으로 늘렸다”면서 “조선해양업 분야에서는 한시적으로 전용 E-9 쿼터가 신설되면서 4월부터 12월까지 고용허가서를 발급받은 사업장에 5000명을 운용 중”이라고 말했다. 그나마 조선해양업은 정부가 인력 수급 문제를 주목하고 있다는 의미다. 그는 “지난 달부터는 외국인근로자 사업장 변경제도가 개선되면서 지역을 권역별로 나눠서 그 안에서만 이동할 수 있게 됐으니 이를 염두에 두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를 주관한 부산조선해양기자재공업협동조합 최금식 이사장은 인력 수급 문제만 해결되면 조선해양업은 7~8년 간 호황기를 이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 이사장은 “조선해양업계에 물이 들어왔지만 노를 저어야 할 사람을 구하지 못해 다시 중국에 경쟁력이 뒤지고 있다”면서 “산업부와 법무부, 조선협회에서 발 빠른 대처로 외국인 인력 수급에 물꼬를 열어줬지만 이들 외국인 인력의 관리와 교육이 숙제로 남아 있어 이를 해결할 계기를 만들기 위해 자리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권상국 기자 ksk@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