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물 방사능 검사소 ‘단 1곳’ 부산, 드디어 숨통 틘다

이상배 기자 sangbae@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내년 4월 안에 부산씨푸드플랫폼에 도입될 방사능 검사 장비 모습. 부산씨푸드플랫폼 제공. 내년 4월 안에 부산씨푸드플랫폼에 도입될 방사능 검사 장비 모습. 부산씨푸드플랫폼 제공.

일본의 원전 오염수 방류 이후 수산물 가공품에 대한 방사능 검사 수요가 높아지자 부산시가 추가 방사능 검사 장비를 도입한다. 민간 방사능 검사 기관이 한 곳에 불과했던 부산에서 수산업계들의 숨통이 다소 트일 전망이다.

부산시는 부산 사하구 수산식품특화단지 안에 ‘부산씨푸드플랫폼’ 조성을 마치고 개소식을 열었다고 28일 밝혔다. 부산씨푸드플랫폼은 지역의 수산 식품 관련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부산시가 총 194억 원을 들여 만든 지하 1층, 지상 4층 규모(연면적 5260㎡)의 건물이다.

시는 내년 4월까지 이곳 4층에 방사능 검사 시스템을 도입할 예정이다. 지역업체가 씨푸드플랫폼에 수산 가공물에 대한 방사능 검사를 의뢰하면 소속 연구원의 검사를 거쳐 방사능 검사 증명서를 발급받게 된다. 부산씨푸드플랫폼 운영을 맡은 부산테크노파크 해양바이오블루푸드센터(이하 블루푸드센터)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방사능 검사 기관을 인증받기 위한 절차도 동시에 밟고 있다.

부산시 관계자는 “일본이 원전 오염수 방류를 시작한 뒤 지역 수산 가공업체가 유통 과정에서 방사능 검사 증명서를 요구받는 경우가 늘었지만, 부산에는 민간 검사 기관이 부족해 어려움을 호소했다”며 도입 배경을 설명했다.

부산시가 지난 27일 문을 연 부산씨푸드플랫폼 전경. 부산시 제공 부산시가 지난 27일 문을 연 부산씨푸드플랫폼 전경. 부산시 제공

앞서 부산은 수산물 가공업 규모가 전국 1위인데도 민간에서 방사능 검사를 맡길 수 있는 기관이 단 한 곳에 불과하다는 지적(부산일보 8월 31일 자 1면 등 보도)이 제기된 바 있다.

우리나라 연근해에서 조업한 수산물은 생산 단계에서 각 지방자치단체와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등이 방사능 검사를 실시한다. 하지만 수산 가공품은 유통 단계로 분류되기 때문에, 수산물 가공업체가 방사능 검사를 받으려면 식약처가 지정한 민간 방사능 검사 기관에 의뢰해야 한다.

문제는 부산에서 민간 방사능 검사가 가능한 기관은 부산대 방사능분석센터 단 한 곳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부산시보건환경연구원도 검사 기관이지만 업무가 몰려 현재 민간 신청은 받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에 있는 수산식품업체 수는 368곳에 달하며, 연간 생산량과 매출은 각 38만 9000t, 1조 7000억 원으로 전국 1위임에도 방사능 검사 환경은 전혀 뒷받침하지 못한 것이다.

실제 업체들은 수산 가공물에 대한 방사능 검사가 불편하다고 호소했다. 부산 한 수산 가공업체 관계자는 “한 품목당 검사비로 6~7만 원이 드는 건 그렇다 쳐도, 부산에 있는 수백 개 업체에서 쏟아지는 검사 요청을 한 곳이 담당하니 결과가 나오는 데 너무 오래 걸린다”며 “원래는 2박 3일 안에 결과가 나와야 하는데 늦으면 보름에서 3주씩 걸릴 때도 있어 속이 답답할 때가 많다”고 전했다.

부산씨푸드플랫폼 측은 방사능 검사 시스템을 이른 시일 내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블루푸드센터 이남규 센터장은 “아침에 맡기면 그날 안에 검사 결과를 받아볼 수 있는 최신 장비가 들어올 예정”이라면서 “식약처에 방사능 검사 기관 인증도 차질 없이 진행해 지역 수산가공업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부산씨푸드플랫폼이 들어선 수산식품특화단지는 어묵업체 27곳을 포함해 부산 수산식품업체 59곳이 입주해 있다. 부산씨푸드플랫폼은 비즈니스 미팅룸, 영상회의실, 제품 촬영실, 임대 사무실 등 수산식품특화단지 입주업체가 활용할 수 있는 편의시설도 갖췄다.


이상배 기자 sangbae@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