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대한민국 양대 축 성장하는 포스트 엑스포 전략 세워야”

김상훈 기자 neato@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일보 제4기 독자위 11월 회의

2023년 제4기 <부산일보> 독자위원회 11월 지면 평가 회의가 지난달 29일 부산일보사 4층 회의실에서 열렸다. 정종회 기자 jjh@ 2023년 제4기 <부산일보> 독자위원회 11월 지면 평가 회의가 지난달 29일 부산일보사 4층 회의실에서 열렸다. 정종회 기자 jjh@

부산일보사(대표이사 사장 김진수)와 〈부산일보〉 독자위원회(위원장 김영도 동의과학대 총장)는 지난달 29일 부산일보사 4층 회의실에서 독자위원 9명과 김수진 〈부산일보〉 편집국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2023년 제4기 독자위원회 11월 지면 평가 회의’를 개최했다.


■부산 미래 청사진 제시 기획 필요

심재운(부산상공회의소 경제정책본부장) 위원은 “2030세계박람회(월드엑스포) 유치가 아쉽게도 불발됐지만, 국가적인 총력을 동원하는 과정에서 우리가 얻은 성과를 정확하게 분석·평가하고, 또 다른 성장을 이끌어내는 포스트 엑스포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심 위원은 “부산시, 부산상공계, 시민사회, 언론이 합심해 정확한 방향성을 제시해야 한다”며 “가덕신공항 조기 완공, 산업은행법 개정안 연내 처리, 에어부산 분리 매각, 북항재개발 동력 유지, 제2센텀 도시융합특구 지정 등 지역 현안 사업을 차질 없이 진행하고 부산 미래 청사진을 제시하는 기획 기사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부산 알리는 글로벌 매체 역할을

강석호(마이스부산 대표) 위원은 “엑스포 유치 과정에서 국제 무대에 부산을 홍보한 것은 큰 성과인데 부산을 국제 무대에 더 잘 알릴 수 있는 채널 확보가 중요하다”며 “부산을 알리는 외신 매체와 외신 기자 관리도 필요하고 영어라는 매체로 부산의 장점과 역량을 알리는 글로벌 매체의 역할을 〈부산일보〉가 했으면 한다”고 제안했다. 강 위원은 또 “예를 들어 관광 분야 안에 스타트업이 있는 등 관광과 창업이 융합적인 현장으로 바뀌고 있다”며 “분야를 나누는 칸막이를 없애고 기자들도 협력해서 어젠다를 발굴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글로벌 시각서 지역 어젠다 발굴해야

이화행(동명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부위원장은 “〈부산일보〉가 엑스포 유치 필요성과 세계도시 부산의 인식을 높이는 데 대표 언론의 역할을 잘 수행했다”며 “나중에 엑스포 유치 활동을 역사적으로 바라보면서 〈부산일보〉 기사 데이터를 분석하면 차별화된 노력이 드러날 것”이라고 전했다. 이 부위원장은 “11월 15일 자와 27일 자에 실린 ‘유럽 대학도시서 배운다’ 기획 기사가 매우 우수한데 대학의 경쟁력이 도시의 경쟁력이 되고, 지역 경쟁력이 세계도시와의 경쟁이라고 글로벌 관점에서 보도하고 있다”며 “지역 경쟁력을 수도권과 이분법적으로 접근하는 것을 지양하고 글로벌 시각에서 지역 어젠다를 발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동서고가로 교통 분담도 다뤘으면

김영도(동의과학대 총장) 위원장은 “엑스포 유치가 부산의 새로운 미래 동력이 될 수 있었는데 안타까운 결과를 마주하게 됐지만 부산의 발전을 위한 도전을 멈출 수가 없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10월 31일 자 3면에 실린 동서고가로 시민 대토론회 기사를 보면 토론회에 건축학과 교수와 시민들만 참석해 동서고가로 철거와 활용에 대한 부분을 건축학적, 도시미관적으로만 접근해 아쉬움이 있다”며 “교통 전문가도 참석해 교통 분담 문제를 다루고, 철거 뒤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문제를 진단해 동서고가도로 처리와 활용을 고민했더라면 더 좋았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문화정책·비평 관련 내용 확대를

남영희(부산대 대학원 예술·문화와 영상매체협동과정 강사) 위원은 “10월 18일 자 17면 제1회 부산국제공연예술마켓 결산 기사는 부산에서 처음 열린 행사의 의미와 맥락을 성실하게 짚었고, 10월 26일 자 21면 ‘국립부산국악원 국악체험관 개관’ 기사는 매우 반가운 소식이었다”고 말했다. 남 위원은 “문화행사 소개에 비해 문화정책이나 비평 관련 내용은 ‘시민회관 개관 50주년 공연, 누구를 위한 공연인가?’ 등 몇몇 기사에 불과한데, 이를 확충해 국가문화정책에 대한 관심과 지역의 문화 정책을 끌어냈으면 한다”고 제안했다.


■지역 청년 성장 방안 보여줬으면

김민지((주)브이드림 대표) 위원은 “10월 26일 자 1면 ‘부산대역 복합개발 무산…대학가 쇠락 가속화’ 기사는 부산대역이 위치한 금정구가 청년 유출 등 인구 소멸 위기에 직면해 있고, 젊은 소비층 발길이 계속 끊기고 상가 공실률도 부산 평균보다 높게 나타남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김 위원은 “해당 지역의 자연, 문화, 환경 등 다양한 매력을 소개하고 청년들의 스타트업 창업과 성공 사례를 통해 청년들이 지역에 머무르면서 발전하는 방안을 보여주는 기사를 썼으면 한다”고 전했다.


■구치소·교도소 통합 주민 반발 해법을

김소연(법무법인 예주 대표변호사) 위원은 “11월 24일 자 1면에 ‘구치소·교도소 강서구 통합 이전 만장일치 결론’ 기사는 2007년부터 통합이전 논의가 시작돼 예산 문제와 주민 반발로 16년 만에 진행됐음을 보여준다”며 “강서구로 이전할 경우 법원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지는데 구속 피고인이나 재판 받는 사람들의 이야기도 싣고, 강서구 이전 결정에 대한 주민 반발에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도 실었으면 한다”고 지적했다. 김 위원은 “11월 17일 자 1면 ‘부산 돌려차기 사건’을 계기로 ‘범죄피해자 원스톱 솔루션센터’가 전국 최초로 서울에서 오픈한다는 소식이 실렸는데, 부산 센터 개소 노력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우키시마호 교과서 등재 여론 의미 커

윤미숙(부산교사노조 교육협력국장) 위원은 “해방 직후 귀향길에 오른 한국인 강제징용자 수천 명이 일본 앞바다에 수장된 우키시마호 사건에 대한 〈부산일보〉 기획 보도를 한국사 교과서에 실어야 한다는 10월 10일 자 1면 기사와 11월 10일 자 2면 ‘우키시마호 온라인 추모기록관 오픈’ 기사는 의미가 컸다”고 말했다. 윤 위원은 "빈대를 잡기 위해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은 살충제를 오남용하면 안 된다는 11월 24일 자 10면 기사는 유익했다”고 말했다.


■스터디카페 사건 연속 보도 돋보여

변정희((사)여성인권지원센터 살림 상임대표) 위원은 “〈부산일보〉 포털을 보면 정치, 사회, 경제해양 등 큰 카테고리로 나뉘어져 세분된 기사를 찾기 어려운 반면, 다른 언론사 홈페이지는 사건·사고, 교육, 노동 등 세분돼 욕구에 맞는 기사를 찾기가 쉽다”고 말했다. 변 위원은 “지난 9월 스터디카페 아르바이트 면접자 피해 사건 연속 보도는 온라인 구인구직 사이트를 통한 변종 성매매 알선 등 문제를 잘 다뤘으며, 대책 마련을 위한 섬세한 접근과 연속성 있는 기획이 돋보였다”고 평가했다.


■답변·총평

김수진 편집국장은 “엑스포 유치 무산 이후 부산 시민과 부산을 위해 무엇을 할 것인지, 부산이 수도권과 더불어 대한민국의 양대 축으로 나아가기 위해 어떤 시설과 제도적인 것이 필요한지 등을 짚어보도록 하겠다”며 “가덕신공항 조기 개항, 북항재개발사업, 에어부산 분리 매각, 산업은행 이전 등 지역 현안 사업은 물론 엑스포 유치에 가려져 미뤄왔던 사업도 잘 챙기도록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김 국장은 또 “청년들을 위해 대학과 지역이 함께할 수 있는 시리즈도 많이 구상하고, 홈페이지 주제를 세분화해 기사를 잘 배치할 수 있도록 연구하겠다”고 덧붙였다.


※이 기사는 부산시 지역신문발전지원 보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김상훈 기자 neato@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