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칫덩이 ‘경남청소년수련원’ 결국 고성군이 품는다

김민진 기자 mjkim@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관련 운영 조례 개정안 도의회 통과
관리·운영사무 시장·군수 위임 가능
시설 전면 보수 후 2025년 재개장
“세금 축낼 폭탄 떠 안나” 거부감도

고성군 회화면 상족암군립공원에 자리 잡은 경상남도 청소년수련원. 고성군 제공 고성군 회화면 상족암군립공원에 자리 잡은 경상남도 청소년수련원. 고성군 제공

이용자가 없어 문 닫은 경남도립 청소년수련원(부산일보 7월 27일 자 11면 보도)을 결국 고성군이 떠안는다. 코로나 팬데믹 여파로 작년 말 폐원한 이후 새 운영자를 찾지 못해 1년 넘게 방치되자 보다 못한 군이 맡기로 했다. 하지만 각종 규제에 묶여 활용도가 떨어지는 탓에 자칫 예산만 축내는 애물단지가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11일 고성군에 따르면 허동원 도의원이 대표 발의한 ‘경상남도 청소년수련원 설치 및 운영 조례’ 개정안이 최근 도의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개정안은 도립 청소년수련원을 도가 직접 운영하거나 청소년단체에 위탁 운영을 맡기는 것 외에 관리·운영 사무를 시장·군수에게 위임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도는 이를 근거로 수련원을 고성군이 무상 관리토록 전환할 계획이다. 군은 위임 절차가 마무리되면 시설 전면 보수 후 2025년 숙박시설로 재개장한다.

1996년 개원한 경남 청소년수련관은 그동안 (사)한국스카우트연맹이 수탁 운영해 왔다. 4만 3917㎡ 부지에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 본관동과 수상·산악활동장, 운동장, 캠프파이어장 등 다양한 수련시설을 갖췄다. 본관에는 한 번에 368명을 수용할 수 있는 53실 생활관과 대강당, 식당, 세미나실이 있다.

2015년 세월호 참사로 학생 수련 활동이 위축되면서 위기를 맞기도 했지만, 천혜의 자연환경을 활용한 다양한 해양레포츠 등 차별화된 프로그램으로 2018년 전국 최우수 청소년수련시설에 선정됐다.

그런데 이듬해 코로나19 사태로 개점휴업 상태에 빠졌다. 강화된 방역 조치로 단체 활동이 전면 중단된 탓이다. 경남도가 2020년 1억 원, 2021년 1억 7000만 원 그리고 지난해 2억 9800만 원을 운영비로 지원했지만 역부족. 한국스카우트연맹은 작년 연말 위수탁계약 기간이 끝나자 재계약을 포기했다.

대체 사업자를 찾지 못한 경남도는 고성군에 손을 내밀었다. 군이 시설 전체를 매입하거나 직영해달라는 것이다. 최근 스포츠 마케팅에 집중하며 각종 대회를 유치하고도 숙박시설이 부족해 제대로 된 낙수 효과를 누리지 못했던 고성군은 일단 긍정적으로 검토했다. 그러나 막대한 재원이 필요한 데다, 규제도 심해 망설였다.

실제 수련원은 공시지가만 73억 원 상당으로 매입 가격은 100억 원 이상으로 추산된다. 게다가 지은 지 20년이 지난 노후 시설이라 정상 운영을 위해선 리모델링이 필수다.

자연환경보전지역에 자리 잡고 있어 자연공원법 적용을 받는 점도 걸림돌이 됐다. 관련법상 일반 숙박시설로 용도변경이 불가능하다. 일반 투숙객도 받을 순 있지만, 수련 목적의 청소년이 아닌 경우, 연간 이용 가능 인원의 100분의 40 이내로 제한된다. 이 때문에 군의회도 “자칫 폭탄을 떠안을 수 있다”며 거부감을 드러냈다.

고성군이 미적거리자 경남도는 행정재산으로 무상 관리 전환하는 차선책을 제시했다. 균특 예산으로 리모델링 예산을 지원하는 대신 운영비는 고성군이 부담하는 조건이다.

고성군 관계자는 “대규모 행사를 진행할 때마다 많은 선수와 방문객이 지역을 찾고 있지만, 숙박 환경이 열악해 정작 소비는 인근 지역으로 유출되는 현상이 반복되고 있다”면서 “새로운 관광인프라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반면 더 신중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온전한 숙박시설로 활용하기엔 법적 제약 요소가 많은 게 현실”이라며 “준다고 덜렁 받았다가 두고두고 후회할 수도 있다. 정치권과 손잡고 규제 완화를 통한 활용도 제고 방안까지 고민해야 한다”고 짚었다.


김민진 기자 mjkim@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