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립·은둔청년 전국 최대 54만 명 추정… 국가가 돕기로

조영미 기자 mia3@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심층 조사 바탕 첫 개입
1903명에 초기 상담 혜택

이기일 보건복지부 1차관이 13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고립·은둔 청년 지원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기일 보건복지부 1차관이 13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고립·은둔 청년 지원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가 차원에서 처음으로 사회와 단절돼 고립·은둔하는 청년을 돕기로 했다. 청년들의 고립·은둔 확대가 사회 문제로 번지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국가가 팔을 걷어붙였다.

13일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11차 청년정책조정위원회에서 보건복지부는 관계 부처 합동으로 수립한 ‘고립·은둔 청년 지원방안’을 발표했다. 앞서 복지부는 지난 7~8월 두 달 동안 19~39세 전국 고립·은둔 청년 2만 1360명을 대상으로 한 첫 심층 조사를 벌였다. 그중 스스로 도움을 요청하거나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한 1903명에 대해 전담 사례관리사가 초기 상담에 나서, 해당 청년을 지속해서 지원하기로 했다.

조사에 따르면 청년기 고립·은둔의 가장 큰 이유로 취업을 꼽은 청년이 가장 많았고(24.1%), 대인관계(23.5%), 가족관계·건강(각 12.4%) 순이었다.

심층조사를 수행한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고립·은둔을 생각하는 위기 청년 규모가 최대 약 54만 명에 달할 수 있다고 추정했다. 또 통계청에 따르면 일도 구직활동도 하지 않는 ‘쉬었음’ 청년은 지난해 7월 36만 명, 올해 7월 40만 2000명으로 늘었고, 우울·낙심할 때 대화할 사람 ‘없음’ 비율도 2021년 30만 6000명에서 올해 31만 6000명으로 증가했다.

이에 따라 복지부 소관 공공 홈페이지에 고립·은둔 자가진단시스템을 마련하고 누구든지 고립·은둔 위기 정도를 간편 진단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또 내년 하반기부터 고립·은둔 당사자가 비대면·온라인으로 외부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원스톱 도움 창구도 마련한다.

또 당사자뿐만 아니라 가족이나 친구, 편의점 등 주변에서 위기 징후가 보이는 청년에 대한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129콜 보건복지상담센터 카테고리에 별도로 청년 항목을 신설하기로 했다.

내년에는 공모를 통해 4개 시도를 선정, 지역 내 고립·은둔 청년을 전담으로 지원하는 전담기관 ‘청년미래센터’(가칭)를 설치한다. 센터에는 32명의 전담 인력이 상주하며, 도움을 요청한 청년을 대상으로 현장 방문 후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시범사업으로 2년 동안 진행하고 향후 전국 확대를 추진한다.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에도 내년부터 고립·은둔 전담 사례관리 인력 36명을 배치한다.

앞으로 고용노동부는 고립·은둔의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히는 취업 실패, 이직 등 과정에서 쉬고 있는 청년을 대상으로 ‘청년성장프로젝트’(가칭)를 신설한다. 내년 10개 지자체에서 224억 원을 투입해 운영한다.

한편, 복지부는 최근 청년재단 조사에서 청년의 고립·은둔을 방치할 경우 사회적 비용 손실이 연간 약 7조 원(2019년 약 34만 명 기준, 경제활동 포기로 인한 손실, 각종 복지비용 등)에 이른다는 분석에 따라 적기에 효율적인 정책 지원을 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조영미 기자 mia3@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