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까지 ‘100만대 로봇’ 보급…민관협력 '3조원+α' 투자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첨단로봇산업 전략’…로봇 국내시장 20조원·수출 5조원 목표
제조·복지·안전 등 전 산업분야 로봇 100만대 이상 보급
제조부터 농업·서비스·국방·의료·돌봄까지…2만 ‘로봇 군경’

방문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4일 오후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만도넥스트M에서 열린 '첨단로봇 산업 전략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산업부 제공 방문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4일 오후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만도넥스트M에서 열린 '첨단로봇 산업 전략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산업부 제공

2030년까지 민관이 3조 원 이상을 투자해 현재 5조 원대 수준인 'K-로봇' 산업 규모를 20조 원 이상으로 키운다.

로봇이 가장 많이 쓰이는 제조업에서부터 농업, 물류, 서비스, 국방, 사회 안전, 의료, 돌봄에 이르는 전 산업·사회 영역에 2030년까지 100만대의 '로봇 군단'을 투입해 국내 시장을 키우고 생산인구 급감에도 대응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4일 방문규 장관 주재로 경기도 판교 만도넥스트M 사옥에서 주요 로봇 기업 경영진과 유관 협회·단체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첨단로봇 산업 전략회의'를 열고 이 같은 '첨단로봇 산업 비전과 전략'(이하 로봇 전략)을 발표했다.


산업부는 산업 생산성을 높이고 생산인구가 급감하는 인구 구조 변화에 대응하고, 로봇 산업을 신성장 동력으로 키우기 위해 이번 로봇 전략을 발표했다고 설명했다.

중장기 청사진 성격을 띠는 로봇 전략에서 정부는 2030년까지 민관이 3조 원 이상을 투자, 2021년 5조 6000억 원 수준이던 국내 로봇 시장을 20조 원 이상으로 4배 가까이 늘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정부는 국내 시장 확대를 바탕으로 매출 1000억 원 이상의 '스타 기업'이 2021년 5개사에서 30개사로 늘어날 것으로 기대했다. 커진 국내 시장을 기반으로 로봇 수출도 2021년 1조 1000억 원에서 2030년 5조 원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K-로봇 산업 발전을 위한 기반 강화 차원에서 2021년 기준 44.4%인 부품 국산화율을 2030년 80%까지 끌어올린다. 서보모터, 감속기, 센서, 그리퍼, 제어기, 자율이동 소프트웨어, 자율조작 소프트웨어, 인간-로봇 상호 작용 기술(HR) 등 8대 핵심 기술 확보를 집중적으로 추진한다.

산업과 사회 전반 영역에 걸쳐 100만대의 로봇을 대규모로 투입해 활용한다는 양적 목표도 제시됐다.

우선 제조업, 농업, 물류, 소상공인, 산업안전 등 산업 분야에서 총 68만대의 로봇 공급을 목표로 한다. 정부는 농업, 물류센터, 택배 배송, 음식점 조리·서빙 등 일손 부족 문제가 커지는 분야에 로봇 투입을 확대해 생산인구 감소 공백을 메우고, 'K-로봇 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산업용과 비교해 시장 형성 초기 단계인 사회 분야에서도 총 32만대의 로봇 보급이 추진된다.

인구 감소로 군이 인력자원 부족에 시달리는 상황에서 급식을 돕는 '취사병 로봇'을 보급하고, 감시·정찰 등 위험 임무에도 로봇을 활용한다. 경찰의 일상 순찰도 로봇이 돕는 등 국방·안전 분야에만 2만대의 '로봇 군경'이 투입된다.

사회 영역에서 성장성이 클 것으로 기대되는 분야는 돌봄과 의료 분야다. 정부는 병원, 요양원, 가정에 걸쳐 30만대의 돌봄·의료 로봇 보급을 목표로 제시하고 제도적 기반 마련에도 나선다.

보건복지부와 산업부 등 관계 부처가 재활 로봇 의료수가 반영, 의료 취약 지역의 수술 로봇 실증, 고령층 인공지능(AI) 반려 로봇 보급, 돌봄 로봇 공적 급여 제공 등을 추진한다. 또 정부는 2030년까지 로봇 산업 인력을 1만 5000명 이상 양성해 로봇 산업 발전을 뒷받침하기로 했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