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복심’ 한동훈 활용법 고민

박석호 기자 psh21@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연말·연초 ‘원 포인트’ 개각 시기
비대위원장 인선 맞물려 유력시
최후 카드 조기 등판 우려 제기에
선대위원장 기용 방안도 저울질

윤석열 대통령이 내년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동훈 법무부 장관에게 맡길 역할을 두고 막판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지난 15일 군 복무 중 급성 백혈병에 걸렸다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해 숨진 고 홍정기 일병의 어머니 박미숙 씨와 대화를 나누고 있는 한 장관.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내년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동훈 법무부 장관에게 맡길 역할을 두고 막판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지난 15일 군 복무 중 급성 백혈병에 걸렸다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해 숨진 고 홍정기 일병의 어머니 박미숙 씨와 대화를 나누고 있는 한 장관. 연합뉴스

올해 마지막 해외순방을 마치고 돌아온 윤석열 대통령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최대 위기를 맞은 여당의 지도체제 공백을 해소하기 위한 해법 때문이다. 특히 검찰 시절부터 자신의 복심이라고 할 수 있는 한동훈 법무부 장관을 어떤 식으로 활용해야 할지가 최대 난제다.

당초 윤 대통령은 지난 4일 1차 개각(기획재정부·국가보훈부·농림축산식품부·국토교통부·해양수산부·중소벤처기업부)에 이어 네덜란드 국빈 방문 후 2차 개각을 통해 외교·안보라인을 정비하면서 ‘윤석열 2기 내각’ 체제를 완료하려고 했다.

총선 국면에서 가장 주목받는 한동훈 장관에 대한 인사는 연말이나 연초 무렵 ‘원 포인트’로 단행하면서 자연스럽게 여론의 조명을 받을 수 있도록 배려한다는 복안도 있었다.

그러나 국민의힘 김기현 전 대표의 갑작스러운 사퇴로 여당의 지도체제를 새로 구성해야 하는 변수가 생겼다. 따라서 비상대책위원회 출범을 통해 당의 위기를 수습해야 하는데 한 장관을 비대위원장 후보군에 올려놓고 갑론을박이 계속되는 것이다.

사실 윤 대통령 입장에서는 한 장관이야말로 가장 ‘믿고 맡길 수’ 있는 비대위원장감이다. 검사 시절부터 오랫동안 손발을 맞춰왔고, 윤석열 정부 출범 직후부터 법무부 장관으로서 똑 부러지게 임무를 수행한데다 대중적인 인기까지 높기 때문에 여당의 구심점으로 손색이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여당 내 친윤(친윤석열)계 인사들은 일찌감치 ‘한동훈 비대위원장 추대’를 들고나온 것이다. 한 장관이 비대위원장으로 있으면 내년 초 출범할 공천관리위원회 구성에도 용산의 의중이 전해질 수 있고, 비윤(비윤석열) 진영과의 힘겨루기에서도 밀리지 않을 수 있다는 계산도 한 몫했다.

하지만 윤 대통령의 입장에서는 ‘한동훈 비대위원장’ 카드가 마냥 긍정적인 것만은 아니다. 최근 여권 위기의 가장 큰 요인이라고 할 수 있는 ‘수직적 당정관계’에 대한 비판이 그것이다. 이미 야당은 한 장관이 윤 대통령의 최측근이라는 점을 부각해 ‘대통령의 아바타’라고 공격하고 있다. 또 검찰 출신을 여당의 간판으로 내세우는데 대한 일반 국민들의 부정적 정서도 무시할 수 없다.

결국 총선을 앞두고 중도층으로 외연을 확장해야 하는 여당으로서는 한 장관의 뛰어난 스타성이 열혈 보수층에만 먹혀드는 소모적 상황에 놓일 수 있다는 우려도 한다. 한 장관이 정치 경험이 전혀 없기 때문에 복잡한 공천 국면에서 이미지에 흠집을 입을 수 있다는 주장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대통령실 내부에서도 한 장관의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아껴야 할 카드’라는 목소리가 조금씩 커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당에서는 한 장관이 높은 인지도에 비정치인 출신의 참신함, 돋보이는 대야 전투력 등으로 중도·부동층 민심까지 견인하면서 ‘총선판’을 흔들 수 있는 적임자라는 평가가 주를 이룬다. 때문에 총선 공천이 마무리될 무렵 선거사령탑이라고 할 수 있는 선거대책위원장으로 한 장관을 내세워 전국 선거를 지원해야 한다는 주장이 많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17일 기자들과 만나 한 장관 후임 인선에 대해 “당장 ‘한다 안 한다’ 말하기보다는 일단 당에서 여러 의견 수렴도 하니까, 그것을 좀 살펴보고 말해야 할 것 같다”고 답했다.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에 한 장관을 인선하는 방안을 놓고 여당 내에서 여러 찬반 의견이 나오는 상황을 고려한 발언이다. 그만큼 윤 대통령도 추각 개각과 맞물려 한 장관 활용에 대한 고심을 깊게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만일 한 장관이 이번 주 개각에 포함되지 않으면 연초에 한 장관의 거취는 뚜렷해질 전망이다. 총선 출마를 위한 공직자 사퇴 시한이 내년 1월 11일이기 때문이다. 비대위원장이든 선대위원장이든 ‘정치인 데뷔’는 불가피하기 때문에 앞으로 보름 정도가 한 장관의 진로를 가늠할 마지막 시간표가 되고 있다.


박석호 기자 psh21@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