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초등 신입생 20명 미만 42곳… 입학식, 교무실서 할 판

김한수 기자 hangang@busan.com , 김준현 기자 joon@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인구절인구절벽 추세 학생수 급감 이유
10명 미만 21곳, 없는 곳도 생겨
폐교 48곳 달해 지역 활력 치명타
부지 활용 방안 숙제는 미적미적

출생률 저하에 따라 2024년 입학생 수가 20명 미만인 부산 지역 초등학교가 42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의 한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이 하교하고 있다. 김종진 기자 kjj1761@ 출생률 저하에 따라 2024년 입학생 수가 20명 미만인 부산 지역 초등학교가 42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의 한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이 하교하고 있다. 김종진 기자 kjj1761@

부산에서 내년 입학생 수가 10명에도 못 미치는 초등학교가 20곳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명 미만인 초등학교도 20곳이 넘는다. 인구 소멸 여파로 초등학교 학생 수가 급감하고 폐교로 이어지면서 지역 활력도 덩달아 떨어지는 실정이다. 폐교 부지 활용 방안 마련도 또 하나의 난제로 부각하고 있다.

20일 부산시교육청에 따르면 부산에 2024년 입학생 수가 10명 미만인 초등학교는 21곳이다. 입학생 수가 10명 미만인 초등학교가 제일 많은 지역은 강서구와 기장군으로 각각 6개소였다. 특히 기장군 월평초등학교의 경우에는 내년 입학생 수가 한 명도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다른 지역으로는 금정구 3곳, 부산진·영도구 2곳, 서구가 1곳이었다.

입학생 수가 10명 이상~20명 미만인 부산 지역 초등학교도 21곳으로 나타났다. 부산 전체 초등학교(305개)에서 14%가량이 한 학급도 제대로 채우지 못하는 입학생 수를 받는 셈이다. 초등학교 입학생 수 급감은 각 교육지원청이 진행한 사전 학급 배정 조사에서 확인됐다. 시교육청 측은 조사 결과에 대해 이사, 취학 지연 등으로 실제 입학생 수가 바뀔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기장군 학교들은 자율통합구역으로 운영돼 ‘작은 학교’를 희망하는 학부모들이 자녀를 보내는 경우가 많다”면서도 “다만 인구 감소 추세로 초등학교 입학생 수가 계속 줄어드는 것도 사실이다”고 말했다.

초등학교 입학생 수 감소는 인구 절벽 추세 때문에 벌어진 일이다. 시교육청에 따르면 내년 초등학교 입학생은 2만 명을 조금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올해 입학생 2만 1162명보다 9.6% 줄었다.

입학생이 줄어들면서 ‘줄폐교’도 이미 현실이 됐다. 2002년 영도구 영선초등학교가 폐교한 일을 비롯해 2000년대 들어 부산에는 초등학교 30곳이 문을 닫았다. 중학교까지 더하면 폐교 학교 수는 40곳에 이른다. 이에 기금 마련 등 폐교 대응 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국민의힘 소속 서승환 영도구의원은 “초등학교에 활력이 떨어지면서 자연스레 지역도 힘을 잃어가는 게 안타깝다. 폐교를 막는 것이 현실적으로 힘들다면 폐교 부지를 활용할 방안을 찾아야 한다”며 “지자체가 폐교 부지를 매입해 문화교육시설을 만드는 동구 좌천초등학교 사례처럼 영도구도 장기적인 폐교 부지 활용 대책 계획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부산 동구는 옛 좌천초등학교 부지를 활용한 ‘(가칭)어울림파크 복합플랫폼’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한 건물에서 보육, 교육, 문화를 모두 제공하면서 지역 활력을 이끌어내려는 취지다. 플랫폼에는 장난감 도서관, 시간제 보육실 등이 들어선다.

그러나 시교육청이 폐교 부지를 소유한 채 자체 활용 방안을 찾고 있어 지자체와의 연계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시교육청은 일부 폐교 부지를 대상으로 활용 사업을 벌이고 있다. 시교육청에 따르면 부산 폐교 수는 총 48곳이다. 그중 20곳은 민간이나 지자체에 매각됐고, 현재 28곳의 폐교 부지를 시교육청이 소유하고 있다.

국민의힘 소속 이대석 부산시의원은 “통계를 보면 시교육청이 폐교 부지를 지역 시설로 활용하는 데 인색하다고 판단된다”며 “시교육청은 지역 주민이 원하는 시설로 폐교 부지가 활용되도록 지자체와 논의하는 등 적극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시교육청은 폐교는 행정 재산으로 우선적으로 시교육청 내부 사업으로 활용할 수 있을지 검토하는 게 당연하다는 입장이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뚜렷한 활용 방법이 없는 경우에는 매각 절차를 밟는데, 그때는 지자체에 의견을 묻는 등 충분히 의견을 반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한수 기자 hangang@busan.com , 김준현 기자 joon@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