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은둔형 외톨이’ 생애주기 따라 지원

조영미 기자 mia3@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시, 다음 달 지원 기본계획 발표
복지개발원, 최대 2만여 명 추정
80% 이상이 20~30대 청년층
"고독사로 가지 않게 조기 개입"

부산시청 전경. 부산일보DB 부산시청 전경. 부산일보DB

부산 ‘은둔형 외톨이’는 최대 2만 2500여 명으로 추정되는데, 이들을 돕기 위한 부산시의 첫 지원책이 다음 달 나온다. 은둔형 외톨이를 포함한 고립·은둔청년이 전국적으로 약 54만 명(부산일보 지난 14일 자 10면 보도)에 달하는 만큼, 이들의 사회 복귀를 돕기 위한 지자체 차원의 노력이다.

부산시는 다음 달 열리는 미래혁신회의에서 부산시 은둔형 외톨이 지원 기본계획을 발표한다고 21일 밝혔다. 부산시는 지난 2021년 7월 제정된 부산시 은둔형 외톨이 지원 조례에 따라 실태조사를 벌였다. 부산시는 이 실태조사와 부산연구원의 은둔형 외톨이 지원 기본계획 수립 연구를 바탕으로 지원 계획을 세웠다.

지난해 부산복지개발원(현 부산사회서비스원)이 실시한 은둔형 외톨이 실태조사에 따르면, 부산의 은둔형 외톨이 규모는 최소 7500명에서 최대 2만 2507명으로 추정된다.

특히, 20대가 37.0%, 30대가 44.1%로 부산 은둔형 외톨이의 81.1%가 청년이었다. 이들이 은둔하게 된 가장 큰 원인은 직업 관련(39.2%)이었고, 대인관계(26.1%), 가족 관련(8.7%) 등 순이었다.

은둔 기간별로는 1~3년이 30.5%로 가장 많았고, 6개월~1년이 28.6%, 6개월 미만이 24.1%, 3~5년이 7.4%, 5년 이상이 9.4%로 나타났다.

부산시는 은둔형 외톨이가 청년층에 집중됐고, 전체 은둔형 외톨이의 약 83%의 은둔 기간이 3년 이하라는 점에 주목했다. 이들이 은둔에 들어가기 전부터 적절한 사회적 개입이 있으면 고립과 은둔을 막을 수 있다고 봤다.

실제로 학창 시절 왕따나 부적응 경험이 사회에 진출했을 때 사회 부적응으로 연결되고 은둔으로 이어지는 만큼, 은둔형 외톨이 지원계획에는 청소년기부터 조기 개입이 필요하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22년, 2023년 연구 결과와도 일치한다. 전국 은둔형 외톨이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은둔 발현 시기는 청년 진입기가 가장 많았고, 은둔 관련 어려움이 발생하는 시기는 중장년 시기가 두드러졌다. 경제 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은둔 청년의 생애 경제적 비용은 1인당 약 15억 원으로 추산된다.

이에 따라 부산시는 청소년기, 청년기, 중장년기, 노년기로 이어지는 생애주기에 따라 사각지대가 없는 연결을 목표로 은둔형 외톨이 지원계획을 세웠다.

부산시 복지정책과 이병수 과장은 “은둔형 외톨이의 80% 이상이 청년이라는 실태조사 결과가 나왔는데 이들을 방치하면 은둔하는 중년층이 되고 고독사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본다”며 “3년 이상 장기간 은둔하는 경우 개입이 어려운 만큼 이번 지원 계획에는 은둔 초기부터 조기 개입하는 내용이 들어갔다”고 설명했다.

부산시는 외부 은둔형 외톨이 전문가 집단과 함께 세대별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해 내놓을 예정이다. 또 조례에 따라 조만간 부산시 은둔형 외톨이 지원위원회를 15명 규모로 구성한다. 위원회는 2년 동안 부산시의 은둔형 외톨이 지원 계획을 심의하고 자문한다.


조영미 기자 mia3@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