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아닌 주 단위로”… 대법원이 제시한 연장근로시간 계산법은
“하루 몇 시간 근무와는 무관하게
1주간 총 근로시간 합산해서 계산”
한국노총 "현장 산정 방식과 달라"
주 52시간만 넘지 않으면 주중 야근과 밤샘을 반복하며 집중적으로 일해도 위법하지 않다는 대법원 판단이 나왔다.
25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법원 2부(주심 민유숙 대법관)는 근로기준법·근로자퇴직급여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A 씨의 혐의를 일부 무죄 취지로 파기환송했다.
A 씨는 2013∼2016년 근로자에게 퇴직금과 연장근로수당을 제때 지급하지 않고 연장근로 한도를 총 130회 초과해 일하게 한 혐의로 기소됐다. 1·2심은 A 씨의 혐의를 일부 유죄로 인정해 벌금 100만 원을 선고했다.
A 씨가 불복해 열린 상고심에서는 근로기준법상 연장근로 한도의 위반 여부를 따지는 계산 기준이 쟁점이 됐다.
A 씨의 회사 근로자는 3일 근무 후 하루 휴식하는 식으로 일했다. 이에 따라 일주일에 보통 5일을 근무했으나 어떤 주는 3~4일이나 6일씩 근무하기도 했다. 주 52시간제가 실시되기 이전이었으나 휴일에는 일하지 않았으므로 법적인 근로 한도는 최대 52시간이었다.
항소심 법원은 근로자가 하루에 8시간을 초과한 연장근로시간을 각각 계산한 뒤 이를 합산한 값이 일주일에 12시간을 초과했는지 따졌다.
이 방식대로라면 가상의 근로자가 1주일 중 2일은 15시간, 3일은 6시간 일한 경우 1주간 연장근로시간은 14시간이어서 근로기준법 위반이 된다.
대법원의 판단은 달랐다. 대법원은 “연장근로가 12시간을 초과하였는지는 근로시간이 1일 8시간을 초과했는지를 고려하지 않고 1주간의 근로 시간 중 40시간을 초과하는 근로 시간을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고 밝혔다.
즉 하루에 몇 시간을 근무했는지와는 무관하게, 1주간 총근로시간을 합산한 값이 40시간을 초과해 총 52시간에 달하는지를 기준으로 근로기준법 위반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는 취지다.
이 계산법에 따른다면 A 씨의 1주간 연장근로시간은 8시간이어서 근로기준법을 위반하지 않는다.
대법원은 “근로기준법은 연장근로시간의 한도를 1주간을 기준으로 설정하고 있을 뿐이고, 1일을 기준으로 삼고 있지 않다”며 “근로기준법상 연장근로는 1주간의 기준 근로 시간을 초과하는 근로를 의미한다고 해석하는 것이 자연스럽다”고 설명했다.
한편 한국노총은 “그동안 현장에서 자리 잡은 연장근로수당 산정방식과도 배치되는 것으로 시대착오적이며 쓸데없는 혼란을 자초한 판결”이라고 비판했다.
김성현 기자 kksh@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