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디스크? 이런 경우는 ‘경추협착증’입니다
[닥터큐 전문의를 만나다] 좋은강안병원
허리나 목이 아픈 이유는 대개 두 가지다. 뼈를 연결하는 디스크(추간판) 물질이 튀어나와 신경을 누르거나,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 자체가 좁아져 신경을 압박하는 것이다. 경추협착증은 경추(목뼈) 부분 신경 통로가 좁아진 것을 말한다. 좋은강안센터 척추센터 박만규 과장은 “목이 아프다고 해서 섣불리 목 디스크라고 판단하기보다 MRI를 통해 눌린 부위가 있는지, 신경 통로가 좁아졌는지 살펴야 한다”고 말했다.
경추협착증은 목 디스크와 초기 증상이 비슷해 혼동하기 쉽다. 목 주변 통증으로 손까지 저리다면 목 디스크가 아니라 경추협착증일 수 있다. 목 디스크는 빠른 시간 내에 진행되는 경우가 많고, 디스크가 돌출되어 통증이나 감각 이상이 대부분 한쪽 팔에 생긴다. 반면 경추협착증은 목 디스크보다 서서히 진행되며, 양쪽 팔에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척추관은 뇌에서 팔, 몸통, 다리로 가는 신경다발인 척수가 지나가는 통로다. 추간공은 척수에서 갈라진 가느다란 신경줄기가 빠져나가는 척수 사이의 구멍이다. 추간공이 좁아지는 것을 경추추간공협착증이라고 따로 부르기도 하는데, 이 경우 주로 신경근이 눌려 경추통, 두통, 팔 저림 등이 나타난다. 척추관 자체가 좁아지면 신경근 증상뿐만 아니라 척추 신경이 압박돼 손이나 팔의 근력이 저하된다. 증상이 발전되면 보행장애나 배뇨장애도 발생할 수 있다.
경추협착증의 원인은 주로 퇴행성이다. 그러나 요즘에는 젊은 층에서도 심심찮게 발생한다. 스마트폰 사용이 가장 큰 문제다. 스마트폰 화면을 보느라 구부정하게 목을 숙인 자세는 경추 노화를 앞당길 수 있다.
운동이나 약물, 물리 치료 등 보존 치료에도 호전되지 않거나 협착 정도가 심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불가피하다. 수술적 치료는 과거에는 피부 속 근육까지 절개해 신경을 풀어 주는 방법이 일반적이었다. 최근에는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로 한쪽 절개 구멍에는 내시경 카메라를, 다른 쪽에는 수술 기구를 넣어 근육과 인대를 보존하면서 보다 안전하고 정확하게 치료할 수 있게 됐다. 나이가 많거나 만성질환으로 절개술이 힘들었던 환자들의 경우에도 수술이 가능하다. 통증이 적고 회복과 일상 복귀가 빠르며 장기적인 예후도 좋다.
경추협착증은 치료 후 증상이 좋아졌더라도 꾸준히 관리해야 한다. 박만규 과장은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볼 때 구부정한 자세로 목을 내미는 습관을 고쳐야 하고, 틈틈이 스트레칭을 해서 목에 쌓인 긴장과 피로를 풀어 주는 것도 좋다”고 말했다. 또 “경추협착증이 의심된다면 신경외과 전문의와 상담해 정확한 진단을 받고 자신의 경추 상태에 맞는 적절한 치료와 관리법을 찾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최혜규 기자 iwill@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