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한폭탄' 부동산 PF… 1년 새 연체액 배로 불었다

김진호 기자 rplkim@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동산 경기 부진·고금리 환경
5대 은행 연체액 1051억 원
대출 연체율도 1년 새 2.4배

사진은 서울 종로구 시중은행 현금자동입출금기(ATM). 연합뉴스 사진은 서울 종로구 시중은행 현금자동입출금기(ATM). 연합뉴스

부동산 경기 침체와 고금리 환경이 지속되며 5대 시중은행의 건설업종 대출 연체액이 2년 새 3배나 급증했다. 특히 지방·중소형 저축은행의 경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화가 최근 들어 급속도로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건설업종 대출 잔액은 11월 말 기준 23조 2387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말(20조 3915억 원), 2021년 말(15조 9704억 원)과 비교해 각각 14%, 46% 불어난 규모다.

현재 1051억 원 규모인 연체액의 증가 속도는 더 빠르다. 작년 말(524억 원)의 배일 뿐 아니라 2021년 말(330억 원)의 3.2배에 달한다. 연체율 역시 2021년 말 0.21%, 2022년 말 0.26%에서 올해 11월에는 0.45%까지 뛰었다.

실제 한 시중은행의 경우 3분기 말 기준 건설업종 연체율은 0.83%로 전체 13개 업종 중 가장 높았다. 1년 전보다 0.36%포인트(P) 급등한 것으로 숙박·음식업(0.50%P)에 이어 두 번째로 상승폭이 높았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아직 감당하지 못할 수준은 아니다”라면서도 “다른 업종과 비교해 건설업의 연체율이 두드러지게 빨리 높아지는 것은 사실”이라고 전했다.

부동산PF 부문도 안심할 수는 없다. 5대 은행의 부동산PF 잔액은 11월 말 기준 18조 2405억 원으로 올해 들어 26% 급증했지만, 연체율은 아직 0%에 가깝다. 다만 부동산 경기 부진 및 고금리 상황이 장기화되며 불안감은 커지고 있는 모습이다.

예컨대 KB국민은행의 경우 6개월 이내 만기가 도래하는 사업장, 부실 징후 사업장 등에 대해 현장실사 등 강도 높은 주기적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있다. 신한은행도 중점·점검 관리 대상 사업장을 정해 매달 위험성 조사를 벌이고 있다.

부동산PF 부실에 따른 건전성 악화는 중소·지방 저축은행을 우선 위협하고 있다. 한국신용평가의 ‘저축은행 업계 사각지대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신평사 신용등급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저축은행 47곳의 부동산PF 고정이하여신비율이 6.5%로 2021년(1.3%)보다 5배 높아졌다.

자기자본 대비 PF 대출과 건설업(브릿지론 포함 추정) 비중이 100%가 넘는 저축은행은 30곳이이었다. 이 중 4곳은 200%를 상회했다. 한신평 정호준 애널리스트는 “대부분 중소형사이고 지방 영업 비중이 높으며 PF·건설업 비중이 높아 신용등급을 보유한 대형 저축은행보다 부동산 경기 악화나 지역 건설사 신용위험(리스크)에 더 크게 노출돼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한국은행은 대출의 부동산·건설 관련 부문 집중 문제와 부실 가능성을 주시하고 있다.

한은은 최근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서 “가계와 기업 대출 증가를 부동산 부문이 주도하지만, 주택시장의 불확실성은 큰 상황”이라며 부동산 관련 대출을 금융 불안 요소로 지목했다. 한은 조사 결과 전체 금융기관의 건설업·부동산업 대출 연체율은 올해 2분기 현재 1.75% 수준이다. 작년 2분기(0.72%)와 비교해 불과 1년 새 2.4배로 뛴 셈이다.


김진호 기자 rplkim@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