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마스크’ 무색… 코로나 불황 회복 못한 화장품 시장

김진호 기자 rplkim@busan.com , 박지훈 기자 lionking@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가성비 중시 소비 문화 영향
업계도 반등 기대 없이 ‘체념’
의류 구매 줄어 저가 브랜드 인기
“내년 소비 지출 줄여나갈 것”

화장품 업계가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부활을 기대했지만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경기 둔화와 가성비를 중시하는 소비 문화탓으로 분석된다. 연합뉴스 화장품 업계가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부활을 기대했지만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경기 둔화와 가성비를 중시하는 소비 문화탓으로 분석된다. 연합뉴스

옷이나 화장품 등 소비재 분야에서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를 중요시하는 소비심리가 확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는 가운데 고물가까지 겹치며 지갑을 닫는 소비자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26일 한국은행 통계에 따르면 지난 8월 전국에서 소비자들이 개인 신용카드로 화장품을 구매한 총액은 1829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첫 통계 작성(2009년 12월)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던 2020년 3월의 1843억 원보다도 더 낮은 수치다.

화장품 구매액은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확산하기 전인 2019년 12월 2382억 원에서 이듬해 1월 2261억 원, 2월 2075억 원 등으로 가파르게 떨어졌다. 코로나19 당시에는 사회적 거리두기와 재택근무 장려 등으로 화장품 수요가 일시적으로 축소된 것으로 보였다. 하지만 지난 8월 구매액을 보면 코로나19 상황이 종료된 지금까지도 국내 화장품 시장은 여전히 회복될 기미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전체 개인 신용카드 결제액이 지난 7월 62조 2누적 수주 금액만 1조 7000억989억 원에 달해 역대 최고치를 경신한 것과 대조적이다.

화장품 분야에서 사용액이 줄어든 것은 경기 성장세 둔화가 장기화하면서 소비자들이 값비싼 제품을 찾기보다는 가성비를 따지는 소비를 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불황 트렌드로 불리는 이른바 ‘저가 소비’ 행태가 뚜렷해지고 있다는 뜻이다. 실제 최근 화장품 시장은 고가 프리미엄 브랜드는 위축되는 반면 저가 중소형 브랜드는 성장하는 추세다.

화장품 업계조차 단기 반등을 기대하지 않는 모습이다. 화장품 제조사인 LG생활건강은 올해 3분기 보고서에서 “전반적인 화장품 수요 둔화가 지속돼 단기간 내 성장세 회복이 불투명한 상황”이라고 진단한 바 있다.

의류 분야 역시 상황이 마찬가지다. 소비자들이 의류 구매를 줄이면서 가성비를 앞세운 제조·유통일원화(SPA) 브랜드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SPA브랜드 스파오의 올해 매출은 작년보다 20% 늘어난 4800억 원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가성비를 선호하는 소비자들이 늘며 올해 스파오 인기 아이템인 라이트 재킷의 1~11월 매출은 작년보다 357% 늘었다. 또 스파오는 올해 발열 내의 제품인 웜테크 가격을 1만 5900원에서 1만 2900원으로 내리는 등 ‘착한 가격’ 전략을 앞세워 소비자를 공략했다. 신성통상의 탑텐 역시 올해 최고 매출을 경신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삼성물산 패션부문의 SPA 브랜드 에잇세컨즈도 1~11월 누적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0% 이상 증가했다. 특히 에잇세컨즈는 프리미엄 라인 호조세도 두드러졌다. 소비자들이 가성비를 찾는 동시에 차별화도 꾀하고 싶은 심리가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삼성물산 관계자는 “가성비·가심비 상품에 대한 소비자 관여도가 높아지는 가운데 프리미엄 라인이 구별 짓기를 원하는 소비심리를 자극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한편 메리츠증권 하누리 연구원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내년도 국내 생활소비재 시장 전망에 대해 “고금리 영향으로 소비 지출 여력이 감소하고 소비 밀접 도소매향 지출 비중 또한 축소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김진호 기자 rplkim@busan.com , 박지훈 기자 lionking@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