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해군 수장 전격 교체… 남중국해 갈등 고조

권상국 기자 ksk@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25일 인민해방군 진급 행사
후중밍 신임 해군 사령원 등장
미·필리핀 연합 남중국해 분쟁
중국의 강력한 대응 의지 분석

시진핑 중국 주석이 지난 13일(현지시간) 베트남 하노이 주석궁을 찾아 정상회담을 기다리고 있다. 시 주석은 이달 양국 간의 우호를 다지기 위해 베트남을 공식 방문했다. EPA연합뉴스 시진핑 중국 주석이 지난 13일(현지시간) 베트남 하노이 주석궁을 찾아 정상회담을 기다리고 있다. 시 주석은 이달 양국 간의 우호를 다지기 위해 베트남을 공식 방문했다. EPA연합뉴스

중국이 남중국해 영유권 갈등이 고조되자 해군 사령관 격인 ‘사령원’을 교체해 이목이 쏠리고 있다.

27일 ‘블룸버그통신’과 중화권 매체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해군 사령원 교체 사실을 공식적으로 발표하지 않았으나, 지난 25일 베이징 인민해방군 상장(대장급) 진급 행사에서 후중밍 해군 사령원의 임명 사실이 확인됐다. 둥쥔 전 해군 사령원의 거취는 확인되지 않았다.

중국 관영매체는 현재 후중밍을 신임 해군 사령원으로 호칭하고 있다.

당 총서기이자 당 중앙군사위 주석을 겸임해 중국 인민해방군 통수권자인 시진핑 국가 주석도 이 행사에 참석했다. 인민해방군은 인사이동 등 세부 정보를 외부에 거의 알리지 않는다. 이 때문에 주요 행사 때 거론되는 호칭으로 관련 내용을 파악해야 한다.

후중밍은 지난 1979년 인민해방군에 입대한 잠수함 전문가다. 핵잠수함 부대를 이끌었으며 인민해방군 북부전구 부사령원 등을 역임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은 중국은 해군력이 최근 몇 년간 크게 성장해 2035년까지 최소 6개의 항공모함 전투단을 운용하는 것이 가능할 전망이다.

중국 해군은 남중국해를 담당하는 남해함대, 대만·일본 문제 등에 대처하는 동해함대, 한반도 주변의 동해 등에서 러시아와 합동훈련을 벌이는 북해함대 등으로 구성됐다.

외교가에선 중국의 이번 해군 사령원 교체가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단행된 점에 주목하고 있다. 중국이 이번 분쟁에 강력히 대응하겠다는 의지를 간접적으로 피력한 것이다.

앞서 중국은 남중국해 스프래틀리 군도의 세컨드 토머스 암초를 둘러싸고 필리핀과 대립을 이어가는 중이다. 중국은 지난 1999년 필리핀이 이 암초에 좌초한 자국 군함을 지킨다는 명분으로 해병대원을 상주시키고 물자를 보급하는 등 불법 행위를 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후 중국은 필리핀 보급선에 물대포 발사와 선박 충돌로 접근을 차단하고 있다. 이런 충돌은 지난 8월 이후 지속됐고, 지난 9·10일에도 이틀 연속 물리적 충돌이 발생했다.

왕이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겸 외교부장은 지난 20일 “필리핀이 더 이상 잘못된 방향으로 가지 말라”고 경고했다.

이에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필리핀 대통령은 “남중국해에서 중국의 ‘강압’에 맞설 것”이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중국은 남중국해에 U자 형태로 9개의 선을 긋고 남중국해의 약 90%를 자국 영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필리핀은 중국의 이 같은 주장은 국제법상 근거가 없다는 2016년 국제상설재판소(PCA) 판결을 근거로 맞선다.

남중국해 분쟁에는 미국도 연관돼 있다. 지난 5월 미국은 ‘필리핀과 ‘남중국해 어디서든’ 어느 한 국가가 공격을 받게 되면 상호 방어한다”는 약속을 한 상태다. 중국의 필리핀에 공격이 현실화하면 미군 개입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미국은 ‘항행의 자유’를 강조하면서 남중국해에서 중국이 관할권을 주장하는 해역에 군함을 파견하거나 필리핀 등과 합동 해양 순찰을 이어왔다.

이 때문에 중국에서는 미국을 겨냥한 비판도 나온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지난 25일 평론에서 미국이 필리핀 도발을 부추기고 중국을 비난해 지역의 긴장을 고조시켰다고 주장했다.

인민일보는 “필리핀과 미국의 결탁은 남중국해 사태를 확대하고 시대 흐름에 역행하며 지역 국가들의 이익에도 부합하지 않는다”며 “중국은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 국가들과 대화와 협상으로 남중국해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 노력하지만, 어떠한 위협이나 협박도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권상국 기자 ksk@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