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가워, 2024년!” 세계 각지서 신년 불꽃놀이

권상국 기자 ksk@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호주 시드니 1만 3500발 폭죽
시민 5분의 1 하버 브리지 몰려
폭죽 규제 해제된 독일 베를린
경찰 4500여 명 동원 철통 치안

2024년 새해를 맞아 영국 런던에서는 성대한 불꽃놀이(위)가 펼쳐졌고, 미국 뉴욕 타임스 스퀘어에서도 새해를 기념하는 공연이 열렸다. APUPI연합뉴스 2024년 새해를 맞아 영국 런던에서는 성대한 불꽃놀이(위)가 펼쳐졌고, 미국 뉴욕 타임스 스퀘어에서도 새해를 기념하는 공연이 열렸다. APUPI연합뉴스

전 세계가 1일(현지시간) 지난 2023년의 아쉬움은 잊고 2024년 새해가 더욱 밝고 희망차길 기원했다. 그러나 전쟁이 해를 넘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와 우크라이나에서는 불꽃놀이 대신 포성이 끊이지 않았다.

가장 먼저 새해를 맞이한 지구 동쪽 끝 뉴질랜드 오클랜드에서는 도시의 최고층 빌딩인 스카이 타워를 비춘 레이저 조명, 애니메이션 쇼와 함께 불꽃놀이가 밤하늘을 환하게 밝혔다.

호주 시드니에서는 1만 3500발의 형형색색 불꽃이 새해와 함께 오페라하우스의 50주년을 축하했다. 시드니 인구의 5분의 1에 달하는 100만 명의 인파가 하버 브리지 주변 바닷가와 보트에서 신년을 맞았다.

전통적으로 음력 새해를 크게 축하하는 중국의 경우 과거 영국과 포르투갈의 통치 하에 있었던 홍콩과 마카오에서 대규모 축하 행사가 열렸다. 홍콩에서는 수만 명의 인파가 빅토리아 항구에 모여 불꽃놀이를 즐겼다. 태국 방콕의 차오프라야 강, 대만 타이베이 101빌딩 등 아시아 각지의 랜드마크에서도 화려한 축포를 터뜨렸다.

유럽에서도 속속 신년 행사가 열렸지만, 축하 분위기가 고조되는 가운데 긴장감도 흘렀다.

대규모 행사 대신 거리마다 삼삼오오 축포를 쏘는 전통이 있는 독일에선 본격적인 축하 행사가 시작되기도 전에 폭죽 사고로 중상자가 발생했다.

지난해에도 베를린에서는 코로나19 기간 금지된 폭죽 관련 규제가 해제되면서 소동이 벌어졌다. 소방차가 1700여 차례 출동했고 흥분한 군중이 구조대를 공격하며 부상자가 속출한 것이다.

올해도 4500여 명의 경찰이 베를린 거리로 쏟아져 나와 질서 유지에 나섰다. 시내 일부 지역에서는 친 팔레스타인 시위를 금지했다.

150만 명의 인파가 샹젤리제 거리로 몰려나온 프랑스 파리에도 경찰 6000여 명이 투입됐다. 특히 이들은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전쟁과 관련한 테러 위협이 제기되면서 만약의 사태를 대비했다.

미국 뉴욕에선 올해 신년 행사 인파가 코로나19 대유행 이전 수준을 회복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에릭 애덤스 뉴욕 시장은 유명 가수들이 대거 출연하는 축하 행사를 앞두고 “특별한 위협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경찰은 행사장 주변에 완충 지대를 만들어 시위 위험을 차단하고 드론을 띄워 감시를 강화했다.

떠들썩한 신년 행사와 반대로 전쟁 3개월을 앞둔 가자지구에선 새해의 희망을 찾아보긴 어려웠다. 새해 전날도 이곳에선 이스라엘의 공격이 이어졌고 이 공격으로 35명이 숨졌다.

가자지구 피란민들은 더는 대피할 곳도 없는 남부 라파에서 이날도 음식과 물, 지낼 곳을 찾아 헤매야 했다. 가자지구 남부 칸유니스에서 피란을 온 중년 남성 아부 압둘라 알아가는 “올해는 폐허가 된 집터로 돌아가 텐트라도 치고 살고 싶다”고 말했다.

러시아의 침공이 2년을 앞둔 우크라이나에서는 시민들이 여전히 희망을 잃지 않았다. 키이우 시민 테티아나 쇼스트카는 “승리를 기다리고 있고 우리가 승리할 것을 믿는다”고 전했다.

러시아 모스크바에선 전통적으로 붉은 광장에서 열리던 불꽃놀이와 콘서트가 2년 연속으로 취소됐다. 전날 우크라이나와 맞닿은 러시아 서부 벨고로드가 포격을 받은 것을 계기로 모스크바 외 다른 곳곳에서도 신년 행사가 취소됐다.

한편, 프란치스코 교황은 새해 전날 일요 기도에서 “고통받는 우크라이나 국민,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 국민, 수단 국민과 많은 이들을 위해 기도하자”고 말했다. 그는 “무력 충돌로 얼마나 많은 사람이 죽고 얼마나 많은 파괴와 고통, 빈곤이 발생했는지 자문해야 한다. 이들 분쟁에 관련된 이들은 양심의 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권상국 기자 ksk@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