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당’ 굳어진 민주, 부울경도 짙어진 ‘친명 색깔’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피습 여파 PK 총선 영향은

현 체제 그대로 선거 치를 가능성
‘비명계 공천 어려울 듯’ 전망 분분
현역의원 맞선 ‘자객 출마’도 예상

이낙연 신당·의원 탈당 등 김빠져
대여 관계는 투쟁 일변도 변할 듯

더불어민주당 홍익표 원내대표가 3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치료 중인 이재명 대표의 자리가 비어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홍익표 원내대표가 3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치료 중인 이재명 대표의 자리가 비어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표 피습 사건 이후 더불어민주당에서 친명(친이재명) 색깔이 급속히 강화됐다. 반면 비명계는 사실상 활동 정지 상태에 들어갔다. 친명계에선 이 대표를 비판해온 비명계에게 “용서를 구하라”는 압박까지 나왔다. 친명계가 강하게 결집하면서 ‘이재명의 민주당’이 총선까지 유지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친명계는 이번 피습 사건으로 ‘이낙연 신당’은 사실상 끝났다고 주장했다. 강성 친명계인 안민석 의원은 지난 2일 JTBC ‘장르만 여의도’에 출연해 “병석에 있는 이 대표를 (이낙연 전 대표가)공격할 수 있겠느냐”면서 “오늘로서 이낙연 신당의 바람은 잦아들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신당을 접는 계기로 삼아야 된다”면서 “무리하게 신당을 추진하면 노욕 말고는 설명할 표현이 없다”고 말했다. 안 의원은 ‘이재명 체제’의 최대 위험 요인으로 지적된 ‘세 총리(김부겸·정세균·이낙연) 연대설’에 대해서도 “X소리”라며 원색적으로 비판했다.

강성 친명계인 양문석 전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은 이 대표의 거취에 대한 비명계의 최후통첩에 대해 “같잖다”라는 반응을 보였다. 그는 3일 BBS 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 인터뷰에서 “(비명계)이원욱 의원의 최후통첩, 이낙연 전 총리의 최후통첩 이런 표현들이 진짜 좀 같잖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양 전 위원은 “지금 상황에 당원들의 정치적인 견해와 태도를 보면 이원욱 그룹이나 이 전 총리는 용서받을 수 없는 사람들”이라고 주장했다. 비명계가 이 대표 피습을 계기로 이 대표에 대한 지지로 태도를 바꿔야 용서받을 수 있다는 주장이다.

‘탈당’이나 ‘신당 창당’ 등 결단을 눈앞에 뒀던 비명계는 난감한 모습이다. 이 대표 피습 사건을 감안해 당분간 ‘활동 정지’를 유지한다고 해도 비명계에게 남은 시간은 많지 않다. 특히 신당 창당에 나선 이 전 대표는 총선까지의 정치일정을 감안하면 조만간 행동에 나설 수밖에 없다. 친명계가 이 전 대표에게 원색적 비난을 쏟아낸 것도 신당 창당을 부채질하는 모양새다.

이번 피습 사건을 계기로 비명계의 공천 가능성이 더 낮아졌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 대표 지지 당원들이 결집하면서 비명계가 당내 경선을 통과하기 어려워졌다는 분석이다. 친명계 원외 인사의 비명계 현역 의원에 대한 ‘자객 출마’가 성공할 가능성이 높아진 셈이다. 실제로 비명계에 대해 “같잖다”고 비난한 양 전 위원은 ‘수박(배신자)과 싸우겠다’며 친문(친문재인)계 현역 전해철 의원 지역구에 도전장을 낸 상태다. 부산·울산·경남에서도 ‘친명 대 비명’ 대결 구도가 형성된 일부 지역구에서 친명 후보들이 유리한 상황을 맞았다는 분석이 나온다.

민주당에서 강성 친명계의 목소리가 커지면서 ‘김건희 특검’ 등 정치 현안에서도 강경 드라이브가 예상된다. 친명계는 “윤석열 정부에 대한 투쟁”을 가장 중요한 가치로 인식하고 있어 향후 대여 관계는 투쟁 일변도가 될 전망이다.

이와 관련, 민주당은 윤 대통령이 ‘쌍특검(김건희·대장동)’ 법안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할 경우 법적 대응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홍익표 원내대표는 이날 “(대통령)거부권 행사 시 중대한 국민적 도전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며 “이미 지난해 12월 중순에 권한쟁의심판에 대한 여부를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고 말했다. 민주당이 이처럼 대여 강경 투쟁에 나설 경우 여당 추진 법안인 산업은행법의 국회 통과도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에 지역 야권에선 친명 체제 강화가 총선에서 불리하게 작용할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