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월성1호기 해체 준비 착수…고리1호기는 ‘하반기’ 승인 날 듯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한수원, 월성1호기 해체계획서 초안 원안위 제출
내달 초 주민공람 시작…7월께 해체승인 신청서 제출
고리 1호기, 규제기관 심사 중…하반기 승인 전망


한수원이 해체 준비에 착수한 월성원전 1호기(경북 경주시 양남면 소재) 전경. 부산일보DB 한수원이 해체 준비에 착수한 월성원전 1호기(경북 경주시 양남면 소재) 전경. 부산일보DB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이 고리원전 1호기에 이어 국내 두 번째로 영구정지 처분이 내려진 월성원전 1호기에 대한 해체 준비작업에 본격 착수했다. 앞서 2017년 6월 영구정지된 고리원전 1호기는 해체승인 신청서 심사가 3년 가까이 진행되면서 올 하반기에나 본격 해체 승인이 날 것으로 보인다.

30일 <부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한수원은 ‘월성 1호기(경북 경주시 양남면) 해체계획서 초안’을 31일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에 제출하는 한편, 내달 8일부터 60일간 해체계획서 초안에 대한 주민공람 등 절차에 들어갈 예정이다. 초안에는 원전 해체 일정, 원자로 등 기기와 시설해체 계획, 해체 방사성폐기물 처리 ,주변지역 환경영향평가 결과 등이 담겼다.

한수원은 경주·울산·포항에서 주민공청회 등을 열어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그 결과를 반영한 해체계획서 최종안을 확정하고, 오는 7월께 원안위에 월성 1호기 해체승인 신청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규제기관의 인허가 심사 지연으로 올 하반기께나 본격 해체 작업이 시작될 고리원전 1호기(부산 기장군 장안읍 소재) 전경. 부산일보DB 규제기관의 인허가 심사 지연으로 올 하반기께나 본격 해체 작업이 시작될 고리원전 1호기(부산 기장군 장안읍 소재) 전경. 부산일보DB

가압중수로형인 월성 1호기는 가압경수로형인 고리 1호기(부산 기장군 장안읍)와 마찬가지로 원안위로부터 ‘해체승인 취득 후 해체 착수’에 들어간다.

원안위의 최종 원전 해체승인은 한수원이 2021년 5월에 이미 해체승인 신청서를 제출한 고리 1호기에서 먼저 날 예정이지만, 현재로서 해체승인 시점을 예단하기 어렵다. 고리 1호기는 현재 인허가 심사 중으로, 한수원은 3차 심사질의에 대한 답변을 제출했으며, 규제기관의 심사가 진행 중이다.

한수원 관계자는 “고리1호기는 현재 진행중인 심사일정 즉, 3차 질의 답변 후 추가질의 예정을 고려해볼 때 올해 상반기 해체 착수는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고리 1호기 해체승인은 국내 최초 해체 사업임을 고려해 규제기관의 철저한 심사가 진행중”이라며 “해체승인 심사는 규제기관의 소관사항으로 구체적인 일정을 예상하기는 어렵지만, 한수원은 조속한 해체승인을 위해 규제기관과 적극 소통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원전 해체 과정에서 쏟아져 나올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사용후핵연료) 처리 문제도 골치거리다. 21대 국회 회기 내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 특별법’이 처리되지 않으면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은 원전 부지 내에 따로 임시 저장소(건식저장시설)를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한수원은 고리 건식저장시설과 관련, 올해 기본설계를 마치고 2025년 상세설계 완료, 2027년 인허가 과정을 거쳐 2028년 착공해 20230년 완공·운영할 예정이다. 고리 건식저장시설은 총사업비 5776억 원을 투입해 1만 7550㎡ 규모로 지어질 예정이며, 부지 위치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한수원은 고리 1호기 해체승인이 나면 터빈건물 등 방사선관리구역을 제외한 계통과 구조물을 우선 철거하고, 사용후핵연료 반출 이후 방사선관리구역의 계통과 구조물을 순차적으로 철거할 계획이다.

원전 해체에는 보통 15년이 걸리며, 사용후핵연료 반출, 방사성 시설 제염(오염물질 제거), 부지 복원 등 절차상 고도의 기술력이 요구된다. 고리 1호기와 월성 1호기 해체작업이 원활히 마무리되면 우리나라는 100년간 약 550조 원으로 예상되는 글로벌 원전 해체시장에서 우위를 선점할 것으로 보인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