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해 항로·태평양 잇는 부산, 글로벌 허브도시 적격”
특별법 추진 방향 논의 토론회
“자본이동 자유로운 두바이처럼
법인세·고용환경 개선 필요”
교통망 대대적 투자 필요성도
글로벌 허브도시로서 부산의 잠재력을 진단하고, 특별법 주요 내용과 추진 방안을 짚어보는 자리가 마련됐다. 전문가들은 부산과 국외 도시 사례를 비교하며 부산에 특화된 허브도시의 청사진을 제시했다.
지방분권균형 부산발전시민연대, 부산연구원은 6일 오후 3시 부산시의회 2층 대회의실에서 ‘부산 글로벌 허브도시 특별법(이하 특별법) 주요 내용과 추진방향 토론회’를 개최했다. 토론회는 특별법 입법을 촉구하는 결의문 발표로 시작됐다.
지방분권균형발전 부산시민연대 박재율 대표는 “수도권 초집중으로 인한 지방 소멸의 국가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지역균형발전은 초미의 과제”이라며 “21대 국회에서 특별법 입법이 완성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을 결의한다”고 말했다.
결의문 이후 토론회 주제 발표는 부산연구원 허윤수 선임연구위원, 부산국제금융진흥원 이명호 원장, 동명대학교 우종균 국제물류학과 교수 등 3명이 맡았다. 허 선임연구위원은 “세계 2위 환적항, 세계 7위 컨테이너 항만을 자랑하는 부산항과 개항 예정인 가덕신공항 등 물류 중심지로서 부산 잠재력이 충분하다”며 “또한 부산은 세계 30위권 국제금융도시와 아시아 3위 글로벌 스마트 도시 등 자본과 기술도 집약된 도시다”고 설명했다.
특히 허 선임연구위원은 북극권에 묻힌 풍부한 가스가 개발되는 가스시대에는 러시아 영해를 지나는 북극해 항로 가치가 상승한다고 분석했다. 그러면 북극해 항로와 태평양을 잇는 부산이 지금의 싱가포르와 같은 글로벌 허브도시 지위를 획득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이명호 원장은 부산과 국외 사례를 비교하면서 국제적 기준에 맞는 금융중심지 조성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세부적으로 법인세, 고용환경, 외환시장 등 국외 자본과 기업 유치를 위한 여건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 원장은 “부산은 자국 주요 산업과 연동해서 금융산업이 발전하는 형태”이라며 “부산이 글로벌 허브도시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두바이, 싱가포르처럼 국외 금융기관과 자본이 자유롭게 들어올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제 발표 뒤 토론에서는 글로벌 허브도시 부산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이 쏟아졌다. 부산으로 본사를 옮기거나 신설, 증설 투자를 할 경우 상속세 삭감 등 과감한 혜택을 주자는 주장이 나왔다. 가덕신공항 시대에 앞서 도심과 공항을 잇는 2차 교통망이 빈틈없이 갖춰져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동서대 권장욱 관광경영컨벤션학과 교수는 “교통망은 방문객을 부울경에 뿌려주는 결정적 역할을 한다. 부산역, 창원, 진주 등으로 고속철도와 고속도로 연결에 대대적 투자가 선행돼야 한다”고 당부했다.
앞서 지난달 25일 전봉민 국민의힘 부산시당위원장이 특별법을 대표 발의했다. 부산이 남부권의 중심축이자 글로벌 허브도시로 거듭나기 위해 전면적으로 규제를 혁신하고 특례를 부여하자는 게 특별법의 핵심이다.
김준현 기자 joon@busan.com